‘황혼 육아’ 시달리는 조부모들…제도적 지원 시급
입력 2025.05.26 (21:33)
수정 2025.05.26 (2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초고령사회 연속 기획 보도, 오늘(26일)부터 전해드립니다.
오늘은 황혼 육아 문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손주를 돌보는 일, 분명 기쁜 일이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에겐 힘든 노동이기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 계속 짐을 지우고, 희생을 바랄 게 아니라, 뭔가 대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우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71살 홍성철 씨, 매일 이 시간이면 어린이집을 찾습니다.
["(할아버지 다녀왔습니다~) 잘 다녀왔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자지만, 세 살짜리를 돌보는 건 중노동입니다.
["(이쪽 길이 좋아.) 이 길이 좋아? 이쪽으로 가. 그래도 길 좋은 데로 가자고. (이쪽으로~!)"]
그래도 맞벌이하는 딸 내외를 위해서는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홍성철/서울시 관악구 : "나이가 이렇게 먹다 보니까 또 사내아이라 굉장히 많이 힘이 들죠. 그래도 어떡해요. 또 손주 봐 줘야죠."]
유치원 학부모 모임에 할머니들이 참석할 정도로 조부모 황혼 육아는 일상이 됐습니다.
부모 대신 아이를 돌봐주는 사람, 둘 중 한 명은 할아버지, 할머니입니다.
특히, 두 살 이하 가운데 그 비율은, 절반을 넘어섭니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서울 등 7개 지자체가 '조부모 돌봄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고 지원 기간도 1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선예슬/맞벌이 부부 : "유치원과 취학 아동이 될수록 더 (위탁) 시간이, 점점 보육 시간이 짧아지거든요. 그래서 (조부모 돌봄수당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쉽죠."]
우리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를 맞은 일본에선 기업들도 '손주 돌봄 휴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독일과 체코 등에선 황혼육아 노인들에게 최대 3년간 현금을 지원합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중앙정부에서 지급하는 국가 급여로서 조부모 수당의 기준을 마련한다든지, 이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선 황혼 육아를 노동이 아닌 부모의 책임으로 당연시하는 분위기여서 가족 간 갈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이근희
초고령사회 연속 기획 보도, 오늘(26일)부터 전해드립니다.
오늘은 황혼 육아 문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손주를 돌보는 일, 분명 기쁜 일이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에겐 힘든 노동이기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 계속 짐을 지우고, 희생을 바랄 게 아니라, 뭔가 대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우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71살 홍성철 씨, 매일 이 시간이면 어린이집을 찾습니다.
["(할아버지 다녀왔습니다~) 잘 다녀왔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자지만, 세 살짜리를 돌보는 건 중노동입니다.
["(이쪽 길이 좋아.) 이 길이 좋아? 이쪽으로 가. 그래도 길 좋은 데로 가자고. (이쪽으로~!)"]
그래도 맞벌이하는 딸 내외를 위해서는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홍성철/서울시 관악구 : "나이가 이렇게 먹다 보니까 또 사내아이라 굉장히 많이 힘이 들죠. 그래도 어떡해요. 또 손주 봐 줘야죠."]
유치원 학부모 모임에 할머니들이 참석할 정도로 조부모 황혼 육아는 일상이 됐습니다.
부모 대신 아이를 돌봐주는 사람, 둘 중 한 명은 할아버지, 할머니입니다.
특히, 두 살 이하 가운데 그 비율은, 절반을 넘어섭니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서울 등 7개 지자체가 '조부모 돌봄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고 지원 기간도 1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선예슬/맞벌이 부부 : "유치원과 취학 아동이 될수록 더 (위탁) 시간이, 점점 보육 시간이 짧아지거든요. 그래서 (조부모 돌봄수당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쉽죠."]
우리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를 맞은 일본에선 기업들도 '손주 돌봄 휴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독일과 체코 등에선 황혼육아 노인들에게 최대 3년간 현금을 지원합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중앙정부에서 지급하는 국가 급여로서 조부모 수당의 기준을 마련한다든지, 이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선 황혼 육아를 노동이 아닌 부모의 책임으로 당연시하는 분위기여서 가족 간 갈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황혼 육아’ 시달리는 조부모들…제도적 지원 시급
-
- 입력 2025-05-26 21:33:10
- 수정2025-05-26 21:40:19

[앵커]
초고령사회 연속 기획 보도, 오늘(26일)부터 전해드립니다.
오늘은 황혼 육아 문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손주를 돌보는 일, 분명 기쁜 일이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에겐 힘든 노동이기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 계속 짐을 지우고, 희생을 바랄 게 아니라, 뭔가 대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우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71살 홍성철 씨, 매일 이 시간이면 어린이집을 찾습니다.
["(할아버지 다녀왔습니다~) 잘 다녀왔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자지만, 세 살짜리를 돌보는 건 중노동입니다.
["(이쪽 길이 좋아.) 이 길이 좋아? 이쪽으로 가. 그래도 길 좋은 데로 가자고. (이쪽으로~!)"]
그래도 맞벌이하는 딸 내외를 위해서는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홍성철/서울시 관악구 : "나이가 이렇게 먹다 보니까 또 사내아이라 굉장히 많이 힘이 들죠. 그래도 어떡해요. 또 손주 봐 줘야죠."]
유치원 학부모 모임에 할머니들이 참석할 정도로 조부모 황혼 육아는 일상이 됐습니다.
부모 대신 아이를 돌봐주는 사람, 둘 중 한 명은 할아버지, 할머니입니다.
특히, 두 살 이하 가운데 그 비율은, 절반을 넘어섭니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서울 등 7개 지자체가 '조부모 돌봄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고 지원 기간도 1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선예슬/맞벌이 부부 : "유치원과 취학 아동이 될수록 더 (위탁) 시간이, 점점 보육 시간이 짧아지거든요. 그래서 (조부모 돌봄수당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쉽죠."]
우리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를 맞은 일본에선 기업들도 '손주 돌봄 휴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독일과 체코 등에선 황혼육아 노인들에게 최대 3년간 현금을 지원합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중앙정부에서 지급하는 국가 급여로서 조부모 수당의 기준을 마련한다든지, 이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선 황혼 육아를 노동이 아닌 부모의 책임으로 당연시하는 분위기여서 가족 간 갈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이근희
초고령사회 연속 기획 보도, 오늘(26일)부터 전해드립니다.
오늘은 황혼 육아 문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손주를 돌보는 일, 분명 기쁜 일이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에겐 힘든 노동이기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 계속 짐을 지우고, 희생을 바랄 게 아니라, 뭔가 대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우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71살 홍성철 씨, 매일 이 시간이면 어린이집을 찾습니다.
["(할아버지 다녀왔습니다~) 잘 다녀왔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자지만, 세 살짜리를 돌보는 건 중노동입니다.
["(이쪽 길이 좋아.) 이 길이 좋아? 이쪽으로 가. 그래도 길 좋은 데로 가자고. (이쪽으로~!)"]
그래도 맞벌이하는 딸 내외를 위해서는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홍성철/서울시 관악구 : "나이가 이렇게 먹다 보니까 또 사내아이라 굉장히 많이 힘이 들죠. 그래도 어떡해요. 또 손주 봐 줘야죠."]
유치원 학부모 모임에 할머니들이 참석할 정도로 조부모 황혼 육아는 일상이 됐습니다.
부모 대신 아이를 돌봐주는 사람, 둘 중 한 명은 할아버지, 할머니입니다.
특히, 두 살 이하 가운데 그 비율은, 절반을 넘어섭니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서울 등 7개 지자체가 '조부모 돌봄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고 지원 기간도 1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선예슬/맞벌이 부부 : "유치원과 취학 아동이 될수록 더 (위탁) 시간이, 점점 보육 시간이 짧아지거든요. 그래서 (조부모 돌봄수당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쉽죠."]
우리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를 맞은 일본에선 기업들도 '손주 돌봄 휴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독일과 체코 등에선 황혼육아 노인들에게 최대 3년간 현금을 지원합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중앙정부에서 지급하는 국가 급여로서 조부모 수당의 기준을 마련한다든지, 이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선 황혼 육아를 노동이 아닌 부모의 책임으로 당연시하는 분위기여서 가족 간 갈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이근희
-
-
김우준 기자 universen@kbs.co.kr
김우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초고령 대한민국’ 시간이 없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