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 육아’ 시달리는 조부모들…제도적 지원 시급

입력 2025.05.26 (21:33) 수정 2025.05.26 (2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초고령사회 연속 기획 보도, 오늘(26일)부터 전해드립니다.

오늘은 황혼 육아 문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손주를 돌보는 일, 분명 기쁜 일이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에겐 힘든 노동이기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 계속 짐을 지우고, 희생을 바랄 게 아니라, 뭔가 대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우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71살 홍성철 씨, 매일 이 시간이면 어린이집을 찾습니다.

["(할아버지 다녀왔습니다~) 잘 다녀왔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자지만, 세 살짜리를 돌보는 건 중노동입니다.

["(이쪽 길이 좋아.) 이 길이 좋아? 이쪽으로 가. 그래도 길 좋은 데로 가자고. (이쪽으로~!)"]

그래도 맞벌이하는 딸 내외를 위해서는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홍성철/서울시 관악구 : "나이가 이렇게 먹다 보니까 또 사내아이라 굉장히 많이 힘이 들죠. 그래도 어떡해요. 또 손주 봐 줘야죠."]

유치원 학부모 모임에 할머니들이 참석할 정도로 조부모 황혼 육아는 일상이 됐습니다.

부모 대신 아이를 돌봐주는 사람, 둘 중 한 명은 할아버지, 할머니입니다.

특히, 두 살 이하 가운데 그 비율은, 절반을 넘어섭니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서울 등 7개 지자체가 '조부모 돌봄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고 지원 기간도 1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선예슬/맞벌이 부부 : "유치원과 취학 아동이 될수록 더 (위탁) 시간이, 점점 보육 시간이 짧아지거든요. 그래서 (조부모 돌봄수당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쉽죠."]

우리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를 맞은 일본에선 기업들도 '손주 돌봄 휴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독일과 체코 등에선 황혼육아 노인들에게 최대 3년간 현금을 지원합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중앙정부에서 지급하는 국가 급여로서 조부모 수당의 기준을 마련한다든지, 이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선 황혼 육아를 노동이 아닌 부모의 책임으로 당연시하는 분위기여서 가족 간 갈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황혼 육아’ 시달리는 조부모들…제도적 지원 시급
    • 입력 2025-05-26 21:33:10
    • 수정2025-05-26 21:40:19
    뉴스 9
[앵커]

초고령사회 연속 기획 보도, 오늘(26일)부터 전해드립니다.

오늘은 황혼 육아 문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손주를 돌보는 일, 분명 기쁜 일이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에겐 힘든 노동이기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 계속 짐을 지우고, 희생을 바랄 게 아니라, 뭔가 대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우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71살 홍성철 씨, 매일 이 시간이면 어린이집을 찾습니다.

["(할아버지 다녀왔습니다~) 잘 다녀왔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자지만, 세 살짜리를 돌보는 건 중노동입니다.

["(이쪽 길이 좋아.) 이 길이 좋아? 이쪽으로 가. 그래도 길 좋은 데로 가자고. (이쪽으로~!)"]

그래도 맞벌이하는 딸 내외를 위해서는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홍성철/서울시 관악구 : "나이가 이렇게 먹다 보니까 또 사내아이라 굉장히 많이 힘이 들죠. 그래도 어떡해요. 또 손주 봐 줘야죠."]

유치원 학부모 모임에 할머니들이 참석할 정도로 조부모 황혼 육아는 일상이 됐습니다.

부모 대신 아이를 돌봐주는 사람, 둘 중 한 명은 할아버지, 할머니입니다.

특히, 두 살 이하 가운데 그 비율은, 절반을 넘어섭니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서울 등 7개 지자체가 '조부모 돌봄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고 지원 기간도 1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선예슬/맞벌이 부부 : "유치원과 취학 아동이 될수록 더 (위탁) 시간이, 점점 보육 시간이 짧아지거든요. 그래서 (조부모 돌봄수당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쉽죠."]

우리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를 맞은 일본에선 기업들도 '손주 돌봄 휴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독일과 체코 등에선 황혼육아 노인들에게 최대 3년간 현금을 지원합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중앙정부에서 지급하는 국가 급여로서 조부모 수당의 기준을 마련한다든지, 이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선 황혼 육아를 노동이 아닌 부모의 책임으로 당연시하는 분위기여서 가족 간 갈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이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시리즈

‘초고령 대한민국’ 시간이 없다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