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 모기업 1분기 순익 47% 급감…“관세전쟁 직격탄”
입력 2025.05.28 (10:02)
수정 2025.05.28 (1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인해 중국의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이자 테무의 모회사인 핀둬둬(PDD홀딩스)의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7% 급감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미 CNN방송 등이 현지 시각 27일 보도했습니다.
PDD홀딩스는 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47% 감소한 147억 4,000만 위안(약 2조 8,115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로 미국에 상장된 PDD홀딩스 주가는 장중 17% 이상 폭락했으며, 13.6% 하락한 채 장을 마쳤습니다.
핀둬둬는 1분기 매출이 956억 7,000만 위안(약 18조 3,141억 원)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전문가 평균 예상치인 1,025억 1,000만 위안(약 19조 6,234억원)을 하회하는 것이었습니다.
초저가 전략으로 경쟁사들을 앞지르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온 핀둬둬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 관세전쟁이 본격화하자 그 여파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테무나 쉬인과 같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관세를 피하는 용도로 활용해온 800달러 미만(약 110만원) 수입품 대상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폐지하면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엠사이언스의 빈치 장 애널리스트는 로이터에 “핀둬둬의 엄청난 수익 부진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 영향 속 예상보다 훨씬 낮은 영업이익률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3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액 면세 제도’를 5월 2일부터 폐지하고 3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중국발 소액 소포 관세는 이후 90%에서 120%까지 올랐다가 미중 양국이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한 무역협상을 통해 관세전쟁 ‘휴전’을 선언하면서 54%로 인하됐습니다.
미중 관세전쟁이 90일간 일시적 유예에 들어갔으나, 테무와 같은 글로벌 기업에는 여전히 큰 불확실성이 있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또 중국 정부의 소비 촉진책과 대대적인 할인 경쟁에도 중국의 장기화한 부동산 침체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소비 심리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습니다.
천 레이 PDD홀딩스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후 “관세와 같은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판매자들에게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했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판매자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가격과 충분한 공급을 통해 글로벌 사업 운영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PDD홀딩스는 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47% 감소한 147억 4,000만 위안(약 2조 8,115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로 미국에 상장된 PDD홀딩스 주가는 장중 17% 이상 폭락했으며, 13.6% 하락한 채 장을 마쳤습니다.
핀둬둬는 1분기 매출이 956억 7,000만 위안(약 18조 3,141억 원)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전문가 평균 예상치인 1,025억 1,000만 위안(약 19조 6,234억원)을 하회하는 것이었습니다.
초저가 전략으로 경쟁사들을 앞지르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온 핀둬둬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 관세전쟁이 본격화하자 그 여파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테무나 쉬인과 같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관세를 피하는 용도로 활용해온 800달러 미만(약 110만원) 수입품 대상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폐지하면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엠사이언스의 빈치 장 애널리스트는 로이터에 “핀둬둬의 엄청난 수익 부진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 영향 속 예상보다 훨씬 낮은 영업이익률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3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액 면세 제도’를 5월 2일부터 폐지하고 3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중국발 소액 소포 관세는 이후 90%에서 120%까지 올랐다가 미중 양국이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한 무역협상을 통해 관세전쟁 ‘휴전’을 선언하면서 54%로 인하됐습니다.
미중 관세전쟁이 90일간 일시적 유예에 들어갔으나, 테무와 같은 글로벌 기업에는 여전히 큰 불확실성이 있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또 중국 정부의 소비 촉진책과 대대적인 할인 경쟁에도 중국의 장기화한 부동산 침체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소비 심리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습니다.
천 레이 PDD홀딩스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후 “관세와 같은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판매자들에게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했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판매자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가격과 충분한 공급을 통해 글로벌 사업 운영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테무 모기업 1분기 순익 47% 급감…“관세전쟁 직격탄”
-
- 입력 2025-05-28 10:02:29
- 수정2025-05-28 10:02:56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인해 중국의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이자 테무의 모회사인 핀둬둬(PDD홀딩스)의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7% 급감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미 CNN방송 등이 현지 시각 27일 보도했습니다.
PDD홀딩스는 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47% 감소한 147억 4,000만 위안(약 2조 8,115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로 미국에 상장된 PDD홀딩스 주가는 장중 17% 이상 폭락했으며, 13.6% 하락한 채 장을 마쳤습니다.
핀둬둬는 1분기 매출이 956억 7,000만 위안(약 18조 3,141억 원)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전문가 평균 예상치인 1,025억 1,000만 위안(약 19조 6,234억원)을 하회하는 것이었습니다.
초저가 전략으로 경쟁사들을 앞지르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온 핀둬둬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 관세전쟁이 본격화하자 그 여파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테무나 쉬인과 같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관세를 피하는 용도로 활용해온 800달러 미만(약 110만원) 수입품 대상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폐지하면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엠사이언스의 빈치 장 애널리스트는 로이터에 “핀둬둬의 엄청난 수익 부진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 영향 속 예상보다 훨씬 낮은 영업이익률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3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액 면세 제도’를 5월 2일부터 폐지하고 3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중국발 소액 소포 관세는 이후 90%에서 120%까지 올랐다가 미중 양국이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한 무역협상을 통해 관세전쟁 ‘휴전’을 선언하면서 54%로 인하됐습니다.
미중 관세전쟁이 90일간 일시적 유예에 들어갔으나, 테무와 같은 글로벌 기업에는 여전히 큰 불확실성이 있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또 중국 정부의 소비 촉진책과 대대적인 할인 경쟁에도 중국의 장기화한 부동산 침체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소비 심리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습니다.
천 레이 PDD홀딩스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후 “관세와 같은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판매자들에게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했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판매자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가격과 충분한 공급을 통해 글로벌 사업 운영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PDD홀딩스는 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47% 감소한 147억 4,000만 위안(약 2조 8,115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로 미국에 상장된 PDD홀딩스 주가는 장중 17% 이상 폭락했으며, 13.6% 하락한 채 장을 마쳤습니다.
핀둬둬는 1분기 매출이 956억 7,000만 위안(약 18조 3,141억 원)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전문가 평균 예상치인 1,025억 1,000만 위안(약 19조 6,234억원)을 하회하는 것이었습니다.
초저가 전략으로 경쟁사들을 앞지르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온 핀둬둬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 관세전쟁이 본격화하자 그 여파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테무나 쉬인과 같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관세를 피하는 용도로 활용해온 800달러 미만(약 110만원) 수입품 대상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폐지하면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엠사이언스의 빈치 장 애널리스트는 로이터에 “핀둬둬의 엄청난 수익 부진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 영향 속 예상보다 훨씬 낮은 영업이익률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3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액 면세 제도’를 5월 2일부터 폐지하고 3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중국발 소액 소포 관세는 이후 90%에서 120%까지 올랐다가 미중 양국이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한 무역협상을 통해 관세전쟁 ‘휴전’을 선언하면서 54%로 인하됐습니다.
미중 관세전쟁이 90일간 일시적 유예에 들어갔으나, 테무와 같은 글로벌 기업에는 여전히 큰 불확실성이 있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또 중국 정부의 소비 촉진책과 대대적인 할인 경쟁에도 중국의 장기화한 부동산 침체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소비 심리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습니다.
천 레이 PDD홀딩스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후 “관세와 같은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판매자들에게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했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판매자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가격과 충분한 공급을 통해 글로벌 사업 운영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