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슈 키워드] 무시하더니 이젠 구애?…한국 찾는 유럽 명품들
입력 2023.05.25 (06:40)
수정 2023.05.25 (06: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두 번째는 '한국 1위'.
최근에 이른바 '명품'이라 불리는 해외 고가 브랜드들이 잇따라 서울에서 패션쇼를 열었는데요.
이를 두고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명품 시장의 '큰손', 바로 한국인이었습니다.
한 해 전보다 매출이 24%나 늘어나면서 22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평균으로 따지면 모든 한국사람이 40만 원씩을 쓴 셈입니다.
이게 바로 콧대 높은 해외 브랜드들이 한국을 앞다퉈 찾는 이유라는 겁니다.
프랑스의 한 언론은 "이들 업체의 거만함은 사라지고, 한국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고가 브랜드들이 꼭 돈을 많이 쓴다고 해서 패션쇼 무대까지 옮겨오진 않습니다.
K팝이나 영화, 드라마까지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한국을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란 점에서 긍정적 측면도 있겠죠.
그건 그런데, 한국에서만 유독 더 비싸게 판다는 우리 소비자들의 불만이나 좀 들어주면 좋겠습니다.
최근에 이른바 '명품'이라 불리는 해외 고가 브랜드들이 잇따라 서울에서 패션쇼를 열었는데요.
이를 두고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명품 시장의 '큰손', 바로 한국인이었습니다.
한 해 전보다 매출이 24%나 늘어나면서 22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평균으로 따지면 모든 한국사람이 40만 원씩을 쓴 셈입니다.
이게 바로 콧대 높은 해외 브랜드들이 한국을 앞다퉈 찾는 이유라는 겁니다.
프랑스의 한 언론은 "이들 업체의 거만함은 사라지고, 한국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고가 브랜드들이 꼭 돈을 많이 쓴다고 해서 패션쇼 무대까지 옮겨오진 않습니다.
K팝이나 영화, 드라마까지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한국을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란 점에서 긍정적 측면도 있겠죠.
그건 그런데, 한국에서만 유독 더 비싸게 판다는 우리 소비자들의 불만이나 좀 들어주면 좋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잇슈 키워드] 무시하더니 이젠 구애?…한국 찾는 유럽 명품들
-
- 입력 2023-05-25 06:40:55
- 수정2023-05-25 06:52:25
키워드 두 번째는 '한국 1위'.
최근에 이른바 '명품'이라 불리는 해외 고가 브랜드들이 잇따라 서울에서 패션쇼를 열었는데요.
이를 두고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명품 시장의 '큰손', 바로 한국인이었습니다.
한 해 전보다 매출이 24%나 늘어나면서 22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평균으로 따지면 모든 한국사람이 40만 원씩을 쓴 셈입니다.
이게 바로 콧대 높은 해외 브랜드들이 한국을 앞다퉈 찾는 이유라는 겁니다.
프랑스의 한 언론은 "이들 업체의 거만함은 사라지고, 한국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고가 브랜드들이 꼭 돈을 많이 쓴다고 해서 패션쇼 무대까지 옮겨오진 않습니다.
K팝이나 영화, 드라마까지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한국을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란 점에서 긍정적 측면도 있겠죠.
그건 그런데, 한국에서만 유독 더 비싸게 판다는 우리 소비자들의 불만이나 좀 들어주면 좋겠습니다.
최근에 이른바 '명품'이라 불리는 해외 고가 브랜드들이 잇따라 서울에서 패션쇼를 열었는데요.
이를 두고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명품 시장의 '큰손', 바로 한국인이었습니다.
한 해 전보다 매출이 24%나 늘어나면서 22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평균으로 따지면 모든 한국사람이 40만 원씩을 쓴 셈입니다.
이게 바로 콧대 높은 해외 브랜드들이 한국을 앞다퉈 찾는 이유라는 겁니다.
프랑스의 한 언론은 "이들 업체의 거만함은 사라지고, 한국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고가 브랜드들이 꼭 돈을 많이 쓴다고 해서 패션쇼 무대까지 옮겨오진 않습니다.
K팝이나 영화, 드라마까지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한국을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란 점에서 긍정적 측면도 있겠죠.
그건 그런데, 한국에서만 유독 더 비싸게 판다는 우리 소비자들의 불만이나 좀 들어주면 좋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