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등급’ 가리지 않는 산사태…방심한 곳에서 인명피해

입력 2022.07.01 (21:25) 수정 2022.07.01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마에 태풍까지 겹치면서 산사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는 평소 '산사태 취약 지역'을 정해놓고 관리하지만, 실제 산사태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습니다.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풀 한 가운데를 긁어낸 듯 시뻘건 흙이 드러나 있습니다.

그 아래로 보이는 목조 건물은 원래 두 동짜리였습니다.

하나는 어디로 갔을까...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던 날, 펜션 한 동은 산사태에 쓸려나갔습니다.

머물던 일가족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몇 달 전, 산허리를 깎아 길을 냈던 게 화를 키운 요인이 됐습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교수 : "중턱을 이렇게 수직으로 잘라냈어요. 한 이삼 미터를 잘랐거든요. 도로 만들기 위해서 흙이 중간에 붕 뜰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그게 미끄러지는 거예요."]

그런데도 당시 이 일대는 지자체가 지정하는 '산사태 취약 지역'에서 빠져 있었습니다.

같은 날 참사가 났던 곳은 또 있습니다.

이 공장도 갑자기 쏟아지는 토사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2년 전 산사태가 일어난 곳입니다.

열 걸음이면 올라갈 정도로 낮은 언덕이지만, 폭우로 흙더미가 무너졌고 세 명이 희생됐습니다.

사고 당시 이곳의 산사태 위험등급은 '매우 낮음'으로 분류돼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흙을 막아줄 옹벽부터가 부실했습니다.

2018년부터 올해까지 산사태로 인명피해가 난 장소 가운데, '취약 지역'으로 지정돼 있던 곳은 한 군데도 없습니다.

대부분 도로 공사, 산지 개간 등으로 지형이 인위적으로 바뀐 곳이었는데, 그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관리가 없었던 셈입니다.

[김석우/강원대 산림과학부 교수 : "취약 지역 외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데 취약 지역은 관리를 잘하고 있거든요. 실제로는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아서 비가 많이 오면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 허수곤/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험 등급’ 가리지 않는 산사태…방심한 곳에서 인명피해
    • 입력 2022-07-01 21:25:21
    • 수정2022-07-01 21:56:05
    뉴스 9
[앵커]

장마에 태풍까지 겹치면서 산사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는 평소 '산사태 취약 지역'을 정해놓고 관리하지만, 실제 산사태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습니다.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풀 한 가운데를 긁어낸 듯 시뻘건 흙이 드러나 있습니다.

그 아래로 보이는 목조 건물은 원래 두 동짜리였습니다.

하나는 어디로 갔을까...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던 날, 펜션 한 동은 산사태에 쓸려나갔습니다.

머물던 일가족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몇 달 전, 산허리를 깎아 길을 냈던 게 화를 키운 요인이 됐습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교수 : "중턱을 이렇게 수직으로 잘라냈어요. 한 이삼 미터를 잘랐거든요. 도로 만들기 위해서 흙이 중간에 붕 뜰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그게 미끄러지는 거예요."]

그런데도 당시 이 일대는 지자체가 지정하는 '산사태 취약 지역'에서 빠져 있었습니다.

같은 날 참사가 났던 곳은 또 있습니다.

이 공장도 갑자기 쏟아지는 토사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2년 전 산사태가 일어난 곳입니다.

열 걸음이면 올라갈 정도로 낮은 언덕이지만, 폭우로 흙더미가 무너졌고 세 명이 희생됐습니다.

사고 당시 이곳의 산사태 위험등급은 '매우 낮음'으로 분류돼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흙을 막아줄 옹벽부터가 부실했습니다.

2018년부터 올해까지 산사태로 인명피해가 난 장소 가운데, '취약 지역'으로 지정돼 있던 곳은 한 군데도 없습니다.

대부분 도로 공사, 산지 개간 등으로 지형이 인위적으로 바뀐 곳이었는데, 그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관리가 없었던 셈입니다.

[김석우/강원대 산림과학부 교수 : "취약 지역 외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데 취약 지역은 관리를 잘하고 있거든요. 실제로는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아서 비가 많이 오면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 허수곤/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