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살 수능 ‘유지 vs 폐지’…학생들의 개편안은?

입력 2025.08.21 (07:35) 수정 2025.08.21 (07: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30년 넘게 유지된 대학수학능력시험, 그동안 과목과 배점이 조금씩 바뀌긴 했지만 수능 개편 논의는 교육계의 가장 큰 현안입니다.

수능시험의 존폐를 놓고 학생들이 국회에서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학생들이 꼽은 수능 개편안, 이수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994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도입된 수학능력시험.

첫해는 수능시험을 두 번 치러 잘 나온 성적을 대학 입시에 활용하는 방식이었습니다.

[KBS 뉴스9/1993.8.20 : "1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걱정했던 것보다는 쉬워 수험생들을 안도하게 했습니다."]

30년이 흘러 수능 존폐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수능 시험을 직접 치를 학생들이 토론회 참석자로 나왔습니다.

[장지민/한광고등학교 2학년 : "(수능은) 문제 풀이 연습을 유발하여 대학에서 요구하는 학업 역량을 충분히 측정하지 못합니다."]

[한도현/서울고등학교 2학년 : "학교의 내신보다 공정한 평가 기준으로 대학 수학 능력을 측정합니다. 고차적 사고 요소를 골고루 평가해…."]

수능 중심의 대학입시 제도가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장지은/군서미래국제학교 3학년 : "강남 3구의 정시 합격 비율이 높다는 사실은 교육 자원이 더 집중된 특정 지역 학생들에게 더 유리함을 방증하는 지표로 보는 것이…."]

[이채은/대원외국어고등학교 2학년 : "동일한 시험지로 전국 모든 학생을 같은 조건에서 평가하기 때문에 가장 공정한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시간 넘게 이어진 치열한 토론….

이번 토론회는 단순한 입시 제도를 넘어 수능을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됐습니다.

[이지윤/당곡고등학교 2학년 : "똑같은 기준선에 세워놓고 달리기 하면서 가장 공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아직 지역 간의 격차가 이렇게 크구나."]

토론회 참석자들은 수능의 존폐를 넘어 모든 학생이 공정한 기회를 부여받아야 한다며, 서·논술형 평가 도입 등 사고력 중심 평가로 전환돼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상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살 수능 ‘유지 vs 폐지’…학생들의 개편안은?
    • 입력 2025-08-21 07:35:11
    • 수정2025-08-21 07:41:47
    뉴스광장
[앵커]

30년 넘게 유지된 대학수학능력시험, 그동안 과목과 배점이 조금씩 바뀌긴 했지만 수능 개편 논의는 교육계의 가장 큰 현안입니다.

수능시험의 존폐를 놓고 학생들이 국회에서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학생들이 꼽은 수능 개편안, 이수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994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도입된 수학능력시험.

첫해는 수능시험을 두 번 치러 잘 나온 성적을 대학 입시에 활용하는 방식이었습니다.

[KBS 뉴스9/1993.8.20 : "1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걱정했던 것보다는 쉬워 수험생들을 안도하게 했습니다."]

30년이 흘러 수능 존폐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수능 시험을 직접 치를 학생들이 토론회 참석자로 나왔습니다.

[장지민/한광고등학교 2학년 : "(수능은) 문제 풀이 연습을 유발하여 대학에서 요구하는 학업 역량을 충분히 측정하지 못합니다."]

[한도현/서울고등학교 2학년 : "학교의 내신보다 공정한 평가 기준으로 대학 수학 능력을 측정합니다. 고차적 사고 요소를 골고루 평가해…."]

수능 중심의 대학입시 제도가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장지은/군서미래국제학교 3학년 : "강남 3구의 정시 합격 비율이 높다는 사실은 교육 자원이 더 집중된 특정 지역 학생들에게 더 유리함을 방증하는 지표로 보는 것이…."]

[이채은/대원외국어고등학교 2학년 : "동일한 시험지로 전국 모든 학생을 같은 조건에서 평가하기 때문에 가장 공정한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시간 넘게 이어진 치열한 토론….

이번 토론회는 단순한 입시 제도를 넘어 수능을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됐습니다.

[이지윤/당곡고등학교 2학년 : "똑같은 기준선에 세워놓고 달리기 하면서 가장 공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아직 지역 간의 격차가 이렇게 크구나."]

토론회 참석자들은 수능의 존폐를 넘어 모든 학생이 공정한 기회를 부여받아야 한다며, 서·논술형 평가 도입 등 사고력 중심 평가로 전환돼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상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