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25일 첫 회담”…“방일도 검토 중”

입력 2025.08.13 (06:19) 수정 2025.08.13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됐습니다.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인데,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입니다.

대통령실은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로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방문합니다.

첫 한미 정상회담은 25일로 확정됐습니다.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입니다.

이번 방미는 실무 방문 형식입니다.

공식 환영식은 생략하고 회담 중심으로 일정을 진행합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양 정상 간 상호 관심 의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심도 있는 협의를 갖는 데 초점을 둔 방문이라고 할 수 있겠고요."]

이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업무 오찬을 할 예정입니다.

양국 협의에 따라 두 정상 간 일정이 추가로 잡힐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업 협력에 관심이 큰 만큼 우리 기업이 인수한 현지 조선소를 함께 방문하는 일정 등이 구체화될 수도 있습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충분히 가능할 수 있지 않을까 정도의 예측으로만."]

재계 총수 등 경제사절단의 동행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실은 "같이 갈 의사가 있다"면서도 발표할 단계는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김혜경 여사도 이번 방미에 동행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배우자 멜라니아 여사와의 친교 일정과 동포 간담회, 문화 행사 등을 진행할 거로 전망됩니다.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로 이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셔틀 외교 재개라는 양국 교감 속에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조재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정상, 25일 첫 회담”…“방일도 검토 중”
    • 입력 2025-08-13 06:19:30
    • 수정2025-08-13 08:01:41
    뉴스광장 1부
[앵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됐습니다.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인데,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입니다.

대통령실은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로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방문합니다.

첫 한미 정상회담은 25일로 확정됐습니다.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입니다.

이번 방미는 실무 방문 형식입니다.

공식 환영식은 생략하고 회담 중심으로 일정을 진행합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양 정상 간 상호 관심 의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심도 있는 협의를 갖는 데 초점을 둔 방문이라고 할 수 있겠고요."]

이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업무 오찬을 할 예정입니다.

양국 협의에 따라 두 정상 간 일정이 추가로 잡힐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업 협력에 관심이 큰 만큼 우리 기업이 인수한 현지 조선소를 함께 방문하는 일정 등이 구체화될 수도 있습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충분히 가능할 수 있지 않을까 정도의 예측으로만."]

재계 총수 등 경제사절단의 동행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실은 "같이 갈 의사가 있다"면서도 발표할 단계는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김혜경 여사도 이번 방미에 동행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배우자 멜라니아 여사와의 친교 일정과 동포 간담회, 문화 행사 등을 진행할 거로 전망됩니다.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로 이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셔틀 외교 재개라는 양국 교감 속에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조재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