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트럼프 관세로 혼란

입력 2025.08.08 (21:04) 수정 2025.08.08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하지만, 미국이 밀어붙인 트럼프 라운드는 세계 곳곳에서 잡음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합의 문서도 없고,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게 너무나 많습니다.

유럽산 자동차 관세율은 낮추기로 합의했는데도 여전히 그대로고, 일본은 합의를 해놓고도 다시 협상해야 했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과 합의대로라면 유럽산 자동차 관세는 기존 27.5%에서 15%로 내려가야 합니다.

하지만, 7일 상호 관세 발효 이후에도 달라진 건 없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이 내용은 누락된 데다, 미국이 언제 인하 조치를 이행할지도 불분명합니다.

[시몬 슈츠/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 : "그 합의는 앞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그 영향이 워낙 큰데, 현재 피해액 규모가 수십억에 달하는 상황입니다."]

39%, 최악의 관세 폭탄을 맞은 스위스는 초비상입니다.

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대통령이 담판을 지으러 직접 미국으로 날아갔지만 빈손으로 돌아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커녕 관세를 총괄하는 러트닉 상무장관도 못 만났습니다.

미국은 스위스가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면박만 줄 뿐입니다.

[카린 켈러주터/스위스 대통령 : "그것이 2차 협상이든 3차 협상이든, 어떤 경우에도 결정은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습니다."]

일본 정부도 미국과 합의했던 상호 관세율 15%가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걸로 뒤늦게 해석되자 미국으로 달려가야 했습니다.

추가 협의 끝에 대통령령을 다시 수정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받아내는 소동을 벌여야 했습니다.

합의만 이뤄지면 일단락될 줄 알았지만 세부 사항을 놓고 전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불확실성이 세계 경제를 더 휘청이게 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촬영:김은정/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남서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 세계 트럼프 관세로 혼란
    • 입력 2025-08-08 21:04:07
    • 수정2025-08-08 22:05:14
    뉴스 9
[앵커]

하지만, 미국이 밀어붙인 트럼프 라운드는 세계 곳곳에서 잡음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합의 문서도 없고,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게 너무나 많습니다.

유럽산 자동차 관세율은 낮추기로 합의했는데도 여전히 그대로고, 일본은 합의를 해놓고도 다시 협상해야 했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과 합의대로라면 유럽산 자동차 관세는 기존 27.5%에서 15%로 내려가야 합니다.

하지만, 7일 상호 관세 발효 이후에도 달라진 건 없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이 내용은 누락된 데다, 미국이 언제 인하 조치를 이행할지도 불분명합니다.

[시몬 슈츠/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 : "그 합의는 앞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그 영향이 워낙 큰데, 현재 피해액 규모가 수십억에 달하는 상황입니다."]

39%, 최악의 관세 폭탄을 맞은 스위스는 초비상입니다.

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대통령이 담판을 지으러 직접 미국으로 날아갔지만 빈손으로 돌아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커녕 관세를 총괄하는 러트닉 상무장관도 못 만났습니다.

미국은 스위스가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면박만 줄 뿐입니다.

[카린 켈러주터/스위스 대통령 : "그것이 2차 협상이든 3차 협상이든, 어떤 경우에도 결정은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습니다."]

일본 정부도 미국과 합의했던 상호 관세율 15%가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걸로 뒤늦게 해석되자 미국으로 달려가야 했습니다.

추가 협의 끝에 대통령령을 다시 수정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받아내는 소동을 벌여야 했습니다.

합의만 이뤄지면 일단락될 줄 알았지만 세부 사항을 놓고 전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불확실성이 세계 경제를 더 휘청이게 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촬영:김은정/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남서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