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비자 물가 2.1%↑…폭염에 농수산물도 ‘껑충’
입력 2025.08.05 (12:13)
수정 2025.08.05 (13: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1% 오르며,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소비자 구매 빈도가 높은 가공식품의 상승률이 여전히 높고, 폭염과 폭우 등으로 농·축·수산물의 가격도 올랐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1% 상승했습니다.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입니다.
품목별로 보면 가공식품이 4.1% 오르며, 넉 달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커피가 15.9% 올랐고, 햄과 베이컨은 7.1%, 빵은 6.4% 값이 뛰었습니다.
다만 4.6% 올랐던 전달에 비해 상승 폭은 소폭 줄었습니다.
[박병선/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가공식품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의 순차 반영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4.1% 상승하였으나, 7월 유통업체 할인 행사 등으로 상승 폭은 둔화하였습니다."]
수산물도 7.3% 오르며 두 달 연속 7%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바다 수온 상승과 이에 따른 어획량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6월에 1.8% 하락했던 농산물도 지난달에는 0.1% 내리는 데 그치며 하락 폭을 크게 줄였습니다.
폭염과 폭우로 특히 채소와 과일류의 가격이 오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수박은 20% 넘게 값이 뛰었고, 시금치도 13% 넘게 올랐습니다.
곡물 가운데서는 쌀값이 7% 넘게 상승했는데, 지난해 생산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1% 내렸고, 외식비는 3.2% 올랐습니다.
정부는 기후 변화와 지정학적 불안정 등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주요 품목의 수급 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권혜미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1% 오르며,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소비자 구매 빈도가 높은 가공식품의 상승률이 여전히 높고, 폭염과 폭우 등으로 농·축·수산물의 가격도 올랐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1% 상승했습니다.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입니다.
품목별로 보면 가공식품이 4.1% 오르며, 넉 달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커피가 15.9% 올랐고, 햄과 베이컨은 7.1%, 빵은 6.4% 값이 뛰었습니다.
다만 4.6% 올랐던 전달에 비해 상승 폭은 소폭 줄었습니다.
[박병선/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가공식품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의 순차 반영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4.1% 상승하였으나, 7월 유통업체 할인 행사 등으로 상승 폭은 둔화하였습니다."]
수산물도 7.3% 오르며 두 달 연속 7%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바다 수온 상승과 이에 따른 어획량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6월에 1.8% 하락했던 농산물도 지난달에는 0.1% 내리는 데 그치며 하락 폭을 크게 줄였습니다.
폭염과 폭우로 특히 채소와 과일류의 가격이 오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수박은 20% 넘게 값이 뛰었고, 시금치도 13% 넘게 올랐습니다.
곡물 가운데서는 쌀값이 7% 넘게 상승했는데, 지난해 생산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1% 내렸고, 외식비는 3.2% 올랐습니다.
정부는 기후 변화와 지정학적 불안정 등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주요 품목의 수급 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권혜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월 소비자 물가 2.1%↑…폭염에 농수산물도 ‘껑충’
-
- 입력 2025-08-05 12:13:17
- 수정2025-08-05 13:11:26

[앵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1% 오르며,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소비자 구매 빈도가 높은 가공식품의 상승률이 여전히 높고, 폭염과 폭우 등으로 농·축·수산물의 가격도 올랐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1% 상승했습니다.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입니다.
품목별로 보면 가공식품이 4.1% 오르며, 넉 달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커피가 15.9% 올랐고, 햄과 베이컨은 7.1%, 빵은 6.4% 값이 뛰었습니다.
다만 4.6% 올랐던 전달에 비해 상승 폭은 소폭 줄었습니다.
[박병선/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가공식품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의 순차 반영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4.1% 상승하였으나, 7월 유통업체 할인 행사 등으로 상승 폭은 둔화하였습니다."]
수산물도 7.3% 오르며 두 달 연속 7%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바다 수온 상승과 이에 따른 어획량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6월에 1.8% 하락했던 농산물도 지난달에는 0.1% 내리는 데 그치며 하락 폭을 크게 줄였습니다.
폭염과 폭우로 특히 채소와 과일류의 가격이 오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수박은 20% 넘게 값이 뛰었고, 시금치도 13% 넘게 올랐습니다.
곡물 가운데서는 쌀값이 7% 넘게 상승했는데, 지난해 생산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1% 내렸고, 외식비는 3.2% 올랐습니다.
정부는 기후 변화와 지정학적 불안정 등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주요 품목의 수급 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권혜미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1% 오르며,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소비자 구매 빈도가 높은 가공식품의 상승률이 여전히 높고, 폭염과 폭우 등으로 농·축·수산물의 가격도 올랐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1% 상승했습니다.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입니다.
품목별로 보면 가공식품이 4.1% 오르며, 넉 달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커피가 15.9% 올랐고, 햄과 베이컨은 7.1%, 빵은 6.4% 값이 뛰었습니다.
다만 4.6% 올랐던 전달에 비해 상승 폭은 소폭 줄었습니다.
[박병선/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가공식품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의 순차 반영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4.1% 상승하였으나, 7월 유통업체 할인 행사 등으로 상승 폭은 둔화하였습니다."]
수산물도 7.3% 오르며 두 달 연속 7%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바다 수온 상승과 이에 따른 어획량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6월에 1.8% 하락했던 농산물도 지난달에는 0.1% 내리는 데 그치며 하락 폭을 크게 줄였습니다.
폭염과 폭우로 특히 채소와 과일류의 가격이 오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수박은 20% 넘게 값이 뛰었고, 시금치도 13% 넘게 올랐습니다.
곡물 가운데서는 쌀값이 7% 넘게 상승했는데, 지난해 생산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1% 내렸고, 외식비는 3.2% 올랐습니다.
정부는 기후 변화와 지정학적 불안정 등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주요 품목의 수급 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권혜미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