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현대차 실적 ‘뒷걸음질’…하이닉스 반도체는 ‘훨훨’

입력 2025.07.24 (21:08) 수정 2025.07.25 (10: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관세 여파가 우리 수출의 양대 기둥인 자동차와 반도체에 그대로 반영돼, 벌써 수치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관세를 물고 있는 현대차는 수익성이 크게 나빠진 반면,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실적을 또 세웠습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이브리드차 판매 호조로 지난 2분기 48조 원 넘는 분기 최대 매출을 올린 현대차.

그런데도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16% 가까이 줄었습니다.

4월부터 미국이 부과한 25% 관세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미국에 세금을 더 떼주느라 그만큼 수익이 줄어든 겁니다.

[윤태식/현대차 IR실장/2분기 실적 발표회 : "2분기부터 관세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됨에 따라 마이너스 효과가 8,282억 원 발생했습니다."]

관세 25%를 낮추지 못할 경우, 한국 완성차가 부담하는 관세 비용은 대당 평균 835만 원, 현대차와 기아를 합쳐 연간 9조 원을 웃돕니다.

연간 영업이익의 30%를 관세로 내야 한단 추정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는 미국 내 재고를 팔아 관세 비용을 줄였다지만, 하반기엔 그마저도 힘듭니다.

[송선재/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위원 : "(하반기에는) 상반기 대비 환율이 낮아져서 수출 채산성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이고요. 관세 비용도 본격적으로 반영이 될 거기 때문에…."]

반면, 관세 부과 전인 반도체, 고대역폭메모리, HBM을 주력으로 하는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실적을 또 경신했습니다.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은 9조 2천억 원.

영업이익률도 41%에 달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AI 산업 성장으로 고성능 메모리 수요도 더 늘 거라며 투자 확대를 예고했습니다.

[송현종/SK하이닉스 사장/2분기 실적 발표회 : "올해 투자는 기존의 계획 대비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이는 원활한 HBM 수요 대응을 위한 것으로…."]

관세 여파로 '뒷걸음질' 친 자동차와 '날개' 단 반도체, 다만, 미국은 반도체에도 품목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여현수 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로 현대차 실적 ‘뒷걸음질’…하이닉스 반도체는 ‘훨훨’
    • 입력 2025-07-24 21:08:58
    • 수정2025-07-25 10:36:01
    뉴스 9
[앵커]

관세 여파가 우리 수출의 양대 기둥인 자동차와 반도체에 그대로 반영돼, 벌써 수치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관세를 물고 있는 현대차는 수익성이 크게 나빠진 반면,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실적을 또 세웠습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이브리드차 판매 호조로 지난 2분기 48조 원 넘는 분기 최대 매출을 올린 현대차.

그런데도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16% 가까이 줄었습니다.

4월부터 미국이 부과한 25% 관세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미국에 세금을 더 떼주느라 그만큼 수익이 줄어든 겁니다.

[윤태식/현대차 IR실장/2분기 실적 발표회 : "2분기부터 관세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됨에 따라 마이너스 효과가 8,282억 원 발생했습니다."]

관세 25%를 낮추지 못할 경우, 한국 완성차가 부담하는 관세 비용은 대당 평균 835만 원, 현대차와 기아를 합쳐 연간 9조 원을 웃돕니다.

연간 영업이익의 30%를 관세로 내야 한단 추정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는 미국 내 재고를 팔아 관세 비용을 줄였다지만, 하반기엔 그마저도 힘듭니다.

[송선재/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위원 : "(하반기에는) 상반기 대비 환율이 낮아져서 수출 채산성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이고요. 관세 비용도 본격적으로 반영이 될 거기 때문에…."]

반면, 관세 부과 전인 반도체, 고대역폭메모리, HBM을 주력으로 하는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실적을 또 경신했습니다.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은 9조 2천억 원.

영업이익률도 41%에 달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AI 산업 성장으로 고성능 메모리 수요도 더 늘 거라며 투자 확대를 예고했습니다.

[송현종/SK하이닉스 사장/2분기 실적 발표회 : "올해 투자는 기존의 계획 대비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이는 원활한 HBM 수요 대응을 위한 것으로…."]

관세 여파로 '뒷걸음질' 친 자동차와 '날개' 단 반도체, 다만, 미국은 반도체에도 품목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여현수 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