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조사 출석…말없이 1층 현관 통해 들어가

입력 2025.07.05 (09:01) 수정 2025.07.05 (1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불법 계엄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의 2차 조사에 출석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오늘(5일) 오전 9시 1분 내란특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해 1층 현관을 통해 곧바로 조사실로 향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사과나 혐의에 대해 설명할 말씀 없나', '박창환 총경 조사 오늘도 거부하는 건가', '사후 계엄 선포문 작성에 관여했냐'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곧바로 서울고검 청사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있었던 1차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이날도 서울고검 1층 중앙 현관을 통해 공개 출석했습니다.

오늘 조사에는 송진호 변호사, 배보윤 변호사 등이 동행했습니다.

앞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게 지난 1일을 2차 소환 조사일로 지정해 통보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이에 불응했고 특검팀은 오늘 오전 9시로 출석일시를 재지정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지난 1차 조사 때처럼 오전 10시로 출석 시간을 늦춰달라고 요구했지만, 특검팀이 이를 수용하지 않자 10~20분 정도 늦더라도 9시쯤 출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는데 특검이 요구한 시간에 맞춰서 출석했습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체포영장 집행 방해와 관련한 특수공무집행방해, 비화폰 서버 기록 삭제 지시와 관련해 대통령경호법 위반, 비상계엄 국무회의와 관련한 직권남용 혐의, 그리고 외환 혐의까지 폭넓게 확인할 예정입니다.

오늘 조사 순서는 윤 전 대통령 측과의 대화를 거쳐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2차 소환 조사에 앞서 다수의 사건 관련자를 소환 조사하며,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준비해 왔습니다.

체포영장 집행 방해와 비화폰 삭제 혐의와 관련이 있는 박종준 전 경호처장과 김성훈 전 경호차장을 최근 불러 조사했습니다.

이번에도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는 지난 1차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박창환 총경이 진행할 방침인데, 윤 전 대통령 측이 지난 1차 조사 때처럼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며 특검팀과 대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검팀은 국무회의와 관련해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주호 교육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을 조사했습니다.

이 장관과 안 장관, 유 장관은 모두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는 불참했는데,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 특정 국무위원만 불렀던 만큼, 소집 통보를 받지 못한 국무위원들이 계엄 선포를 심의할 권한을 박탈당한 것은 아닌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국무회의 소집을 위한 연락에 관여한 김정환 전 대통령실 수행실장과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도 불러 조사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계엄 명분을 쌓기 위해 군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다는 외환 혐의와 관련해서는 군 관계자 상당수를 조사했습니다.

특검팀은 드론작전사령부에 무인기를 납품했던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소속 연구원을 지난 1일 불러 조사했고, 이 밖에도 조사 사실이 공개되지 않은 군 관계자 상당수를 조사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조사 출석…말없이 1층 현관 통해 들어가
    • 입력 2025-07-05 09:01:40
    • 수정2025-07-05 10:05:20
    사회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불법 계엄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의 2차 조사에 출석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오늘(5일) 오전 9시 1분 내란특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해 1층 현관을 통해 곧바로 조사실로 향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사과나 혐의에 대해 설명할 말씀 없나', '박창환 총경 조사 오늘도 거부하는 건가', '사후 계엄 선포문 작성에 관여했냐'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곧바로 서울고검 청사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있었던 1차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이날도 서울고검 1층 중앙 현관을 통해 공개 출석했습니다.

오늘 조사에는 송진호 변호사, 배보윤 변호사 등이 동행했습니다.

앞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게 지난 1일을 2차 소환 조사일로 지정해 통보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이에 불응했고 특검팀은 오늘 오전 9시로 출석일시를 재지정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지난 1차 조사 때처럼 오전 10시로 출석 시간을 늦춰달라고 요구했지만, 특검팀이 이를 수용하지 않자 10~20분 정도 늦더라도 9시쯤 출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는데 특검이 요구한 시간에 맞춰서 출석했습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체포영장 집행 방해와 관련한 특수공무집행방해, 비화폰 서버 기록 삭제 지시와 관련해 대통령경호법 위반, 비상계엄 국무회의와 관련한 직권남용 혐의, 그리고 외환 혐의까지 폭넓게 확인할 예정입니다.

오늘 조사 순서는 윤 전 대통령 측과의 대화를 거쳐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2차 소환 조사에 앞서 다수의 사건 관련자를 소환 조사하며,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준비해 왔습니다.

체포영장 집행 방해와 비화폰 삭제 혐의와 관련이 있는 박종준 전 경호처장과 김성훈 전 경호차장을 최근 불러 조사했습니다.

이번에도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는 지난 1차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박창환 총경이 진행할 방침인데, 윤 전 대통령 측이 지난 1차 조사 때처럼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며 특검팀과 대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검팀은 국무회의와 관련해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주호 교육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을 조사했습니다.

이 장관과 안 장관, 유 장관은 모두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는 불참했는데,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 특정 국무위원만 불렀던 만큼, 소집 통보를 받지 못한 국무위원들이 계엄 선포를 심의할 권한을 박탈당한 것은 아닌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국무회의 소집을 위한 연락에 관여한 김정환 전 대통령실 수행실장과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도 불러 조사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계엄 명분을 쌓기 위해 군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다는 외환 혐의와 관련해서는 군 관계자 상당수를 조사했습니다.

특검팀은 드론작전사령부에 무인기를 납품했던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소속 연구원을 지난 1일 불러 조사했고, 이 밖에도 조사 사실이 공개되지 않은 군 관계자 상당수를 조사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