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까지 걸어서 1시간?…외곽은 ‘소외’

입력 2025.05.22 (19:55) 수정 2025.05.22 (20: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집 근처에 도서관이 있다면 교육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풍요롭습니다.

하지만 같은 부산이더라도 도심 외곽 지역은 공공도서관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학교 6개가 있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2년 뒤에는 수백 가구의 신축 아파트가 줄줄이 입주 또는 계획 중입니다.

하지만, 이 근처에는 공공도서관이 단 한 곳도 없습니다.

학생도, 주민도, 아쉬울 따름입니다.

[김준수/기장군 장안읍 : "학생들이 사실은 정관신도시나 일광신도시 가기는 교통편도 안 좋습니다."]

실제로, 장안읍 좌천초를 기준으로 공공도서관에 가려면 차로 13분, 8km 떨어진 기장도서관이나 8.7km 거리의 정관도서관까지 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부산의 경우 지역별로도 공공도서관 접근성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공도서관을 도보 20분, 2km 안에 두라는 정부 매뉴얼이 있지만 걸어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도서관 평균 접근성을 보면 가덕도가 8.2km, 장안읍이 7.8km, 가락동이 6km, 녹산동이 5.3km 등으로, 특히 외곽이 심각합니다.

인구에 비례한 도서관 개수도 턱없이 모자랍니다.

도서관 한 곳당 주민 수를 보면 전국 평균이 4만 명인데, 부산은 무려 6만 3천여 명에 달합니다.

[장덕현/부산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도달도에 대한 조사를 좀 하고, 그 도달도 데이터를 근거로 해서 공공도서관들을 부족한 지역에 실제로 놓을 수 있는…."]

올해 부산에서는 공공도서관 7곳이 더 개관합니다.

하지만 절반가량은 도심에 짓기로 해, 소외 지역의 도서관 부족을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김명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서관까지 걸어서 1시간?…외곽은 ‘소외’
    • 입력 2025-05-22 19:55:51
    • 수정2025-05-22 20:19:50
    뉴스7(부산)
[앵커]

집 근처에 도서관이 있다면 교육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풍요롭습니다.

하지만 같은 부산이더라도 도심 외곽 지역은 공공도서관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학교 6개가 있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2년 뒤에는 수백 가구의 신축 아파트가 줄줄이 입주 또는 계획 중입니다.

하지만, 이 근처에는 공공도서관이 단 한 곳도 없습니다.

학생도, 주민도, 아쉬울 따름입니다.

[김준수/기장군 장안읍 : "학생들이 사실은 정관신도시나 일광신도시 가기는 교통편도 안 좋습니다."]

실제로, 장안읍 좌천초를 기준으로 공공도서관에 가려면 차로 13분, 8km 떨어진 기장도서관이나 8.7km 거리의 정관도서관까지 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부산의 경우 지역별로도 공공도서관 접근성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공도서관을 도보 20분, 2km 안에 두라는 정부 매뉴얼이 있지만 걸어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곳이 많습니다.

도서관 평균 접근성을 보면 가덕도가 8.2km, 장안읍이 7.8km, 가락동이 6km, 녹산동이 5.3km 등으로, 특히 외곽이 심각합니다.

인구에 비례한 도서관 개수도 턱없이 모자랍니다.

도서관 한 곳당 주민 수를 보면 전국 평균이 4만 명인데, 부산은 무려 6만 3천여 명에 달합니다.

[장덕현/부산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도달도에 대한 조사를 좀 하고, 그 도달도 데이터를 근거로 해서 공공도서관들을 부족한 지역에 실제로 놓을 수 있는…."]

올해 부산에서는 공공도서관 7곳이 더 개관합니다.

하지만 절반가량은 도심에 짓기로 해, 소외 지역의 도서관 부족을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김명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