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이슈] 학교폭력
입력 2025.05.21 (20:06)
수정 2025.05.21 (20: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OTT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시리즈 드라마입니다.
학교 폭력을 다룬 이 드라마는, 동명의 웹툰이 원작으로, 후속편이 계속 제작될 만큼 폭발적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최근 많은 드라마, 영화가 학교폭력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 깊은 고민을 안겨주는 주제입니다.
오늘 키워드이슈에서 '학교폭력'에 대해 짚어봅니다.
최근 SNS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중학생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또래 학생의 뺨을 수차례 때리는 학교 폭력 영상이 급속히 퍼지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이처럼 학교폭력은 뉴스의 단골소재가 되고 있습니다.
학교 폭력은 신체폭력은 물론 언어폭력, 사이버폭력까지 유형도 다양해지고, 양상도 점점 흉포해 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학교의 학교 폭력 심의 건수는 1만 7천여 건으로, 고등학교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대학 입시에 학교 폭력 여부가 큰 영향을 주면서 그나마 경각심이 높아졌다는 씁쓸한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그러나 반대로 학폭 신고가 경쟁자 밀어내기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사안의 경중과 무관하게, 일단 신고하고 보는 분위기라는 겁니다.
그렇다 보니, 학폭은 교육적 중재보다는 법적 절차로만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민원과 법적 분쟁의 주체가 되고 교사나 학교는 손을 뗄 수 밖에 없습니다.
중재를 시도했다간 다양한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교사가 책임만 지고 권한이 없는 구조 속에 학교폭력은 학교 안에서 컨트롤하기 힘들게 됐습니다.
때문에 학교 폭력은 결국 교권 침해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교권 침해 건수는 4천 건을 넘었습니다.
특히 중학교에서 발생한 교권 침해가 전체의 절반 이상이고, 교권 보호 5법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도 여전합니다.
얼마전 부산에서도 학생들의 싸움을 말리던 교사가 학생에게 폭행당하자 교권보호위원회가 열렸고, 오히려 학부모가 교사를 아동학대로 신고하는 일이 있었는데요.
이런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 교사들은 교육보다는 교단을 지키는 일 자체에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습니다.
정부도 법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학교와 교사, 교육을 제대로 바라보는 인식의 회복이 더 우선이라고 지적합니다.
학교폭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대한 사회적 과제입니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학교폭력 뉴스 속에서 다시 질문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우리가 학교와 교사에게 아이들의 '교육'을 맡기고 신뢰하며 살고 있는지 말입니다.
키워드이슈였습니다.
학교 폭력을 다룬 이 드라마는, 동명의 웹툰이 원작으로, 후속편이 계속 제작될 만큼 폭발적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최근 많은 드라마, 영화가 학교폭력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 깊은 고민을 안겨주는 주제입니다.
오늘 키워드이슈에서 '학교폭력'에 대해 짚어봅니다.
최근 SNS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중학생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또래 학생의 뺨을 수차례 때리는 학교 폭력 영상이 급속히 퍼지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이처럼 학교폭력은 뉴스의 단골소재가 되고 있습니다.
학교 폭력은 신체폭력은 물론 언어폭력, 사이버폭력까지 유형도 다양해지고, 양상도 점점 흉포해 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학교의 학교 폭력 심의 건수는 1만 7천여 건으로, 고등학교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대학 입시에 학교 폭력 여부가 큰 영향을 주면서 그나마 경각심이 높아졌다는 씁쓸한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그러나 반대로 학폭 신고가 경쟁자 밀어내기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사안의 경중과 무관하게, 일단 신고하고 보는 분위기라는 겁니다.
그렇다 보니, 학폭은 교육적 중재보다는 법적 절차로만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민원과 법적 분쟁의 주체가 되고 교사나 학교는 손을 뗄 수 밖에 없습니다.
중재를 시도했다간 다양한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교사가 책임만 지고 권한이 없는 구조 속에 학교폭력은 학교 안에서 컨트롤하기 힘들게 됐습니다.
때문에 학교 폭력은 결국 교권 침해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교권 침해 건수는 4천 건을 넘었습니다.
특히 중학교에서 발생한 교권 침해가 전체의 절반 이상이고, 교권 보호 5법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도 여전합니다.
얼마전 부산에서도 학생들의 싸움을 말리던 교사가 학생에게 폭행당하자 교권보호위원회가 열렸고, 오히려 학부모가 교사를 아동학대로 신고하는 일이 있었는데요.
이런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 교사들은 교육보다는 교단을 지키는 일 자체에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습니다.
정부도 법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학교와 교사, 교육을 제대로 바라보는 인식의 회복이 더 우선이라고 지적합니다.
학교폭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대한 사회적 과제입니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학교폭력 뉴스 속에서 다시 질문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우리가 학교와 교사에게 아이들의 '교육'을 맡기고 신뢰하며 살고 있는지 말입니다.
키워드이슈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키워드이슈] 학교폭력
-
- 입력 2025-05-21 20:06:16
- 수정2025-05-21 20:16:17

최근 OTT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시리즈 드라마입니다.
학교 폭력을 다룬 이 드라마는, 동명의 웹툰이 원작으로, 후속편이 계속 제작될 만큼 폭발적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최근 많은 드라마, 영화가 학교폭력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 깊은 고민을 안겨주는 주제입니다.
오늘 키워드이슈에서 '학교폭력'에 대해 짚어봅니다.
최근 SNS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중학생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또래 학생의 뺨을 수차례 때리는 학교 폭력 영상이 급속히 퍼지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이처럼 학교폭력은 뉴스의 단골소재가 되고 있습니다.
학교 폭력은 신체폭력은 물론 언어폭력, 사이버폭력까지 유형도 다양해지고, 양상도 점점 흉포해 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학교의 학교 폭력 심의 건수는 1만 7천여 건으로, 고등학교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대학 입시에 학교 폭력 여부가 큰 영향을 주면서 그나마 경각심이 높아졌다는 씁쓸한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그러나 반대로 학폭 신고가 경쟁자 밀어내기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사안의 경중과 무관하게, 일단 신고하고 보는 분위기라는 겁니다.
그렇다 보니, 학폭은 교육적 중재보다는 법적 절차로만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민원과 법적 분쟁의 주체가 되고 교사나 학교는 손을 뗄 수 밖에 없습니다.
중재를 시도했다간 다양한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교사가 책임만 지고 권한이 없는 구조 속에 학교폭력은 학교 안에서 컨트롤하기 힘들게 됐습니다.
때문에 학교 폭력은 결국 교권 침해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교권 침해 건수는 4천 건을 넘었습니다.
특히 중학교에서 발생한 교권 침해가 전체의 절반 이상이고, 교권 보호 5법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도 여전합니다.
얼마전 부산에서도 학생들의 싸움을 말리던 교사가 학생에게 폭행당하자 교권보호위원회가 열렸고, 오히려 학부모가 교사를 아동학대로 신고하는 일이 있었는데요.
이런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 교사들은 교육보다는 교단을 지키는 일 자체에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습니다.
정부도 법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학교와 교사, 교육을 제대로 바라보는 인식의 회복이 더 우선이라고 지적합니다.
학교폭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대한 사회적 과제입니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학교폭력 뉴스 속에서 다시 질문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우리가 학교와 교사에게 아이들의 '교육'을 맡기고 신뢰하며 살고 있는지 말입니다.
키워드이슈였습니다.
학교 폭력을 다룬 이 드라마는, 동명의 웹툰이 원작으로, 후속편이 계속 제작될 만큼 폭발적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최근 많은 드라마, 영화가 학교폭력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 깊은 고민을 안겨주는 주제입니다.
오늘 키워드이슈에서 '학교폭력'에 대해 짚어봅니다.
최근 SNS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중학생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또래 학생의 뺨을 수차례 때리는 학교 폭력 영상이 급속히 퍼지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이처럼 학교폭력은 뉴스의 단골소재가 되고 있습니다.
학교 폭력은 신체폭력은 물론 언어폭력, 사이버폭력까지 유형도 다양해지고, 양상도 점점 흉포해 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학교의 학교 폭력 심의 건수는 1만 7천여 건으로, 고등학교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대학 입시에 학교 폭력 여부가 큰 영향을 주면서 그나마 경각심이 높아졌다는 씁쓸한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그러나 반대로 학폭 신고가 경쟁자 밀어내기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사안의 경중과 무관하게, 일단 신고하고 보는 분위기라는 겁니다.
그렇다 보니, 학폭은 교육적 중재보다는 법적 절차로만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민원과 법적 분쟁의 주체가 되고 교사나 학교는 손을 뗄 수 밖에 없습니다.
중재를 시도했다간 다양한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교사가 책임만 지고 권한이 없는 구조 속에 학교폭력은 학교 안에서 컨트롤하기 힘들게 됐습니다.
때문에 학교 폭력은 결국 교권 침해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교권 침해 건수는 4천 건을 넘었습니다.
특히 중학교에서 발생한 교권 침해가 전체의 절반 이상이고, 교권 보호 5법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도 여전합니다.
얼마전 부산에서도 학생들의 싸움을 말리던 교사가 학생에게 폭행당하자 교권보호위원회가 열렸고, 오히려 학부모가 교사를 아동학대로 신고하는 일이 있었는데요.
이런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 교사들은 교육보다는 교단을 지키는 일 자체에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습니다.
정부도 법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학교와 교사, 교육을 제대로 바라보는 인식의 회복이 더 우선이라고 지적합니다.
학교폭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대한 사회적 과제입니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학교폭력 뉴스 속에서 다시 질문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우리가 학교와 교사에게 아이들의 '교육'을 맡기고 신뢰하며 살고 있는지 말입니다.
키워드이슈였습니다.
-
-
김계애 기자 stone917@kbs.co.kr
김계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