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 사회 진입…‘통합돌봄’을 아시나요?
입력 2025.05.12 (19:18)
수정 2025.05.12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초고령사회를 맞아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의료·돌봄 통합지원사업이 시행됩니다.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발굴이 관건인데요.
오늘부터 닷새간, 통합돌봄사업의 현황과 과제, 그리고 주민들의 반응을 짚어봅니다.
첫 순서로, 통합돌봄사업이 무엇인지,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
노인의 90% 가까이는 건강을 유지하며 현재 거주지에서 살길 원합니다.
또 노인 절반은 건강이 나빠져도 거주지에서 생활하길 희망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정작 건강이 악화되면 요양 시설로 갈 수밖에 없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박무균/강릉시 교동 : "될 수 있으면 (시설에는) 안 가려고 그래요. 나이 들면 능력 없을 때는 의사를 불러가지고 와서 협조해 주든지 그런 건 (좋죠.)"]
정부가 내놓은 해법이 '통합돌봄사업'입니다.
통합돌봄사업은 노인들이 거주지에서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묶어 제공합니다.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며, 시군별로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가 지원됩니다.
소득이나 재산 상관없이 노쇠, 질병, 장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유애정/건보공단 통합지원정책개발센터장 : "읍면동 주민센터나 이렇게 정해진 곳에 가시면 종합적으로 의료와 돌봄의 종합, 내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통합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는 이용 체계가 만들어지는 게…."]
통합돌봄사업은 현재 춘천과 강릉 등 강원도 5개 시군을 포함해 전국 47개 시군구에서 시범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내년 3월부터는 전국 시행이 시작될 예정인데, 지역별로 필요한 사업을 찾는 게 우선적인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촬영기자:최진호
초고령사회를 맞아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의료·돌봄 통합지원사업이 시행됩니다.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발굴이 관건인데요.
오늘부터 닷새간, 통합돌봄사업의 현황과 과제, 그리고 주민들의 반응을 짚어봅니다.
첫 순서로, 통합돌봄사업이 무엇인지,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
노인의 90% 가까이는 건강을 유지하며 현재 거주지에서 살길 원합니다.
또 노인 절반은 건강이 나빠져도 거주지에서 생활하길 희망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정작 건강이 악화되면 요양 시설로 갈 수밖에 없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박무균/강릉시 교동 : "될 수 있으면 (시설에는) 안 가려고 그래요. 나이 들면 능력 없을 때는 의사를 불러가지고 와서 협조해 주든지 그런 건 (좋죠.)"]
정부가 내놓은 해법이 '통합돌봄사업'입니다.
통합돌봄사업은 노인들이 거주지에서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묶어 제공합니다.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며, 시군별로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가 지원됩니다.
소득이나 재산 상관없이 노쇠, 질병, 장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유애정/건보공단 통합지원정책개발센터장 : "읍면동 주민센터나 이렇게 정해진 곳에 가시면 종합적으로 의료와 돌봄의 종합, 내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통합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는 이용 체계가 만들어지는 게…."]
통합돌봄사업은 현재 춘천과 강릉 등 강원도 5개 시군을 포함해 전국 47개 시군구에서 시범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내년 3월부터는 전국 시행이 시작될 예정인데, 지역별로 필요한 사업을 찾는 게 우선적인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촬영기자:최진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초고령 사회 진입…‘통합돌봄’을 아시나요?
-
- 입력 2025-05-12 19:18:51
- 수정2025-05-12 20:01:42

[앵커]
초고령사회를 맞아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의료·돌봄 통합지원사업이 시행됩니다.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발굴이 관건인데요.
오늘부터 닷새간, 통합돌봄사업의 현황과 과제, 그리고 주민들의 반응을 짚어봅니다.
첫 순서로, 통합돌봄사업이 무엇인지,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
노인의 90% 가까이는 건강을 유지하며 현재 거주지에서 살길 원합니다.
또 노인 절반은 건강이 나빠져도 거주지에서 생활하길 희망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정작 건강이 악화되면 요양 시설로 갈 수밖에 없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박무균/강릉시 교동 : "될 수 있으면 (시설에는) 안 가려고 그래요. 나이 들면 능력 없을 때는 의사를 불러가지고 와서 협조해 주든지 그런 건 (좋죠.)"]
정부가 내놓은 해법이 '통합돌봄사업'입니다.
통합돌봄사업은 노인들이 거주지에서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묶어 제공합니다.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며, 시군별로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가 지원됩니다.
소득이나 재산 상관없이 노쇠, 질병, 장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유애정/건보공단 통합지원정책개발센터장 : "읍면동 주민센터나 이렇게 정해진 곳에 가시면 종합적으로 의료와 돌봄의 종합, 내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통합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는 이용 체계가 만들어지는 게…."]
통합돌봄사업은 현재 춘천과 강릉 등 강원도 5개 시군을 포함해 전국 47개 시군구에서 시범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내년 3월부터는 전국 시행이 시작될 예정인데, 지역별로 필요한 사업을 찾는 게 우선적인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촬영기자:최진호
초고령사회를 맞아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의료·돌봄 통합지원사업이 시행됩니다.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발굴이 관건인데요.
오늘부터 닷새간, 통합돌봄사업의 현황과 과제, 그리고 주민들의 반응을 짚어봅니다.
첫 순서로, 통합돌봄사업이 무엇인지, 조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
노인의 90% 가까이는 건강을 유지하며 현재 거주지에서 살길 원합니다.
또 노인 절반은 건강이 나빠져도 거주지에서 생활하길 희망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정작 건강이 악화되면 요양 시설로 갈 수밖에 없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박무균/강릉시 교동 : "될 수 있으면 (시설에는) 안 가려고 그래요. 나이 들면 능력 없을 때는 의사를 불러가지고 와서 협조해 주든지 그런 건 (좋죠.)"]
정부가 내놓은 해법이 '통합돌봄사업'입니다.
통합돌봄사업은 노인들이 거주지에서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의료와 돌봄 서비스를 묶어 제공합니다.
내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며, 시군별로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가 지원됩니다.
소득이나 재산 상관없이 노쇠, 질병, 장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유애정/건보공단 통합지원정책개발센터장 : "읍면동 주민센터나 이렇게 정해진 곳에 가시면 종합적으로 의료와 돌봄의 종합, 내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고, 통합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는 이용 체계가 만들어지는 게…."]
통합돌봄사업은 현재 춘천과 강릉 등 강원도 5개 시군을 포함해 전국 47개 시군구에서 시범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내년 3월부터는 전국 시행이 시작될 예정인데, 지역별로 필요한 사업을 찾는 게 우선적인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조연주입니다.
촬영기자:최진호
-
-
조연주 기자 yeonjoo@kbs.co.kr
조연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