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첫 출산만 매년 증가…“고령 임신 지원 늘려야”
입력 2025.05.08 (21:37)
수정 2025.05.08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 문제 고민해 보는 순섭니다.
초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40대 여성의 첫 출산이 유독 늘고 있습니다.
고령 임신과 출산은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만큼, 정부의 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옵니다.
정연욱 기잡니다.
[리포트]
46살인 이 여성은 시험관 아기 시술을 위한 검사와 진료를 5년째 받고 있습니다.
[이문주/46살 : "반대로 희망적인 말을 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그래, 해보자, 나는 하면 되겠지. 될 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계속하고 있는데."]
임신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고령의 나이가 아니라 비용입니다.
현재 난임 시술 비용은 25회까지 건강보험으로 70% 지원하지만, 그 이후엔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합니다.
임신이 잘 되지 않는 40대 여성들 입장에선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문주/46살 : "건강보험이 안 되면 주사랑 약 이런 걸 다 비급여로 해야되기 때문에 가격이 엄청 많이 뛰어요. 건강보험이 다 끝나고 나서 채취를 했을 때는 3백만 원 정도? 이 정도가 들었어요."]
최근 4년 동안 20~30대의 첫 출산은 감소했지만 40대만 24%가량 증가했습니다.
전체 산모 중에서도 40살 이상 비율은 10% 가까이 늘었습니다.
여성의 초혼 연령이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면서 40살 이상 고령 출산도 같이 늘어난 겁니다.
심지어 한 살이라도 더 젊을 때 난자를 미리 얼려두려는 여성들도 늘고 있습니다.
국내 보관 중인 냉동 난자 수는 3년 사이 2.5배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출산 여성들을 위해 정부가 가임력 검사와 난자 동결 등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영주/산부인과 전문의 : "(출산에 대한) 아이디어조차 없으셨던 분들이 42세가 돼서 결혼하고 싶은 사람을 만났는데 그제야 보니까 내가 조금 늦었다 이렇게 후회하시는 분들이 진료 현장에 많이 있으시거든요."]
고령의 예비 산모들은 병원 방문이 잦은 만큼 연간 6일인 난임 휴가를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저출생 문제 고민해 보는 순섭니다.
초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40대 여성의 첫 출산이 유독 늘고 있습니다.
고령 임신과 출산은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만큼, 정부의 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옵니다.
정연욱 기잡니다.
[리포트]
46살인 이 여성은 시험관 아기 시술을 위한 검사와 진료를 5년째 받고 있습니다.
[이문주/46살 : "반대로 희망적인 말을 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그래, 해보자, 나는 하면 되겠지. 될 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계속하고 있는데."]
임신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고령의 나이가 아니라 비용입니다.
현재 난임 시술 비용은 25회까지 건강보험으로 70% 지원하지만, 그 이후엔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합니다.
임신이 잘 되지 않는 40대 여성들 입장에선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문주/46살 : "건강보험이 안 되면 주사랑 약 이런 걸 다 비급여로 해야되기 때문에 가격이 엄청 많이 뛰어요. 건강보험이 다 끝나고 나서 채취를 했을 때는 3백만 원 정도? 이 정도가 들었어요."]
최근 4년 동안 20~30대의 첫 출산은 감소했지만 40대만 24%가량 증가했습니다.
전체 산모 중에서도 40살 이상 비율은 10% 가까이 늘었습니다.
여성의 초혼 연령이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면서 40살 이상 고령 출산도 같이 늘어난 겁니다.
심지어 한 살이라도 더 젊을 때 난자를 미리 얼려두려는 여성들도 늘고 있습니다.
국내 보관 중인 냉동 난자 수는 3년 사이 2.5배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출산 여성들을 위해 정부가 가임력 검사와 난자 동결 등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영주/산부인과 전문의 : "(출산에 대한) 아이디어조차 없으셨던 분들이 42세가 돼서 결혼하고 싶은 사람을 만났는데 그제야 보니까 내가 조금 늦었다 이렇게 후회하시는 분들이 진료 현장에 많이 있으시거든요."]
고령의 예비 산모들은 병원 방문이 잦은 만큼 연간 6일인 난임 휴가를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0대 첫 출산만 매년 증가…“고령 임신 지원 늘려야”
-
- 입력 2025-05-08 21:37:13
- 수정2025-05-08 22:18:02

[앵커]
저출생 문제 고민해 보는 순섭니다.
초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40대 여성의 첫 출산이 유독 늘고 있습니다.
고령 임신과 출산은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만큼, 정부의 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옵니다.
정연욱 기잡니다.
[리포트]
46살인 이 여성은 시험관 아기 시술을 위한 검사와 진료를 5년째 받고 있습니다.
[이문주/46살 : "반대로 희망적인 말을 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그래, 해보자, 나는 하면 되겠지. 될 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계속하고 있는데."]
임신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고령의 나이가 아니라 비용입니다.
현재 난임 시술 비용은 25회까지 건강보험으로 70% 지원하지만, 그 이후엔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합니다.
임신이 잘 되지 않는 40대 여성들 입장에선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문주/46살 : "건강보험이 안 되면 주사랑 약 이런 걸 다 비급여로 해야되기 때문에 가격이 엄청 많이 뛰어요. 건강보험이 다 끝나고 나서 채취를 했을 때는 3백만 원 정도? 이 정도가 들었어요."]
최근 4년 동안 20~30대의 첫 출산은 감소했지만 40대만 24%가량 증가했습니다.
전체 산모 중에서도 40살 이상 비율은 10% 가까이 늘었습니다.
여성의 초혼 연령이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면서 40살 이상 고령 출산도 같이 늘어난 겁니다.
심지어 한 살이라도 더 젊을 때 난자를 미리 얼려두려는 여성들도 늘고 있습니다.
국내 보관 중인 냉동 난자 수는 3년 사이 2.5배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출산 여성들을 위해 정부가 가임력 검사와 난자 동결 등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영주/산부인과 전문의 : "(출산에 대한) 아이디어조차 없으셨던 분들이 42세가 돼서 결혼하고 싶은 사람을 만났는데 그제야 보니까 내가 조금 늦었다 이렇게 후회하시는 분들이 진료 현장에 많이 있으시거든요."]
고령의 예비 산모들은 병원 방문이 잦은 만큼 연간 6일인 난임 휴가를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저출생 문제 고민해 보는 순섭니다.
초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40대 여성의 첫 출산이 유독 늘고 있습니다.
고령 임신과 출산은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만큼, 정부의 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옵니다.
정연욱 기잡니다.
[리포트]
46살인 이 여성은 시험관 아기 시술을 위한 검사와 진료를 5년째 받고 있습니다.
[이문주/46살 : "반대로 희망적인 말을 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그래, 해보자, 나는 하면 되겠지. 될 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계속하고 있는데."]
임신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고령의 나이가 아니라 비용입니다.
현재 난임 시술 비용은 25회까지 건강보험으로 70% 지원하지만, 그 이후엔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합니다.
임신이 잘 되지 않는 40대 여성들 입장에선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문주/46살 : "건강보험이 안 되면 주사랑 약 이런 걸 다 비급여로 해야되기 때문에 가격이 엄청 많이 뛰어요. 건강보험이 다 끝나고 나서 채취를 했을 때는 3백만 원 정도? 이 정도가 들었어요."]
최근 4년 동안 20~30대의 첫 출산은 감소했지만 40대만 24%가량 증가했습니다.
전체 산모 중에서도 40살 이상 비율은 10% 가까이 늘었습니다.
여성의 초혼 연령이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면서 40살 이상 고령 출산도 같이 늘어난 겁니다.
심지어 한 살이라도 더 젊을 때 난자를 미리 얼려두려는 여성들도 늘고 있습니다.
국내 보관 중인 냉동 난자 수는 3년 사이 2.5배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 출산 여성들을 위해 정부가 가임력 검사와 난자 동결 등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영주/산부인과 전문의 : "(출산에 대한) 아이디어조차 없으셨던 분들이 42세가 돼서 결혼하고 싶은 사람을 만났는데 그제야 보니까 내가 조금 늦었다 이렇게 후회하시는 분들이 진료 현장에 많이 있으시거든요."]
고령의 예비 산모들은 병원 방문이 잦은 만큼 연간 6일인 난임 휴가를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우리 아이, 우리 미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