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여파’ 속 대미 수출 6.8%↓…4월 전체 수출은 3.7%↑
입력 2025.05.01 (17:14)
수정 2025.05.01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관세 여파' 속에 지난달 대미국 수출이 7%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4월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하며 같은달 기준 최고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06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해 6.8% 감소했습니다.
대미 수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의 경우 수출액이 16% 가량 줄었고, 2위 품목인 일반기계도 22% 넘게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부문 대미 수출도 31%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대미 흑자 규모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9억 달러 가량 줄어든 45억 달러에 그쳤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여파와 함께 미국 경기 흐름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박정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미국의 관세 영향이 분명히 나타나고는 있는 것이고요. 그러나 그게 기계적으로, 산술적으로 모두 우리 수출의 감소세를 똑같이 유발하는 것은 아니고, 품목마다 시장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 요인들이..."]
하지만 지난달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한 582억 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HBM 같은 고부가 메모리의 수요가 늘며, 반도체 수출액은 역대 4월 최고 실적인 11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또, 스마트폰 같은 무선 통신기기도 수출액이 26.5% 증가했고, 바이오헬스와 이차전지, 선박 등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달 전체 수입액은 533억 2천만 달러로, 2.7%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8억 8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해, 미국과의 관세 협의를 지속해 나가고,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관세 여파' 속에 지난달 대미국 수출이 7%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4월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하며 같은달 기준 최고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06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해 6.8% 감소했습니다.
대미 수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의 경우 수출액이 16% 가량 줄었고, 2위 품목인 일반기계도 22% 넘게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부문 대미 수출도 31%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대미 흑자 규모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9억 달러 가량 줄어든 45억 달러에 그쳤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여파와 함께 미국 경기 흐름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박정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미국의 관세 영향이 분명히 나타나고는 있는 것이고요. 그러나 그게 기계적으로, 산술적으로 모두 우리 수출의 감소세를 똑같이 유발하는 것은 아니고, 품목마다 시장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 요인들이..."]
하지만 지난달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한 582억 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HBM 같은 고부가 메모리의 수요가 늘며, 반도체 수출액은 역대 4월 최고 실적인 11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또, 스마트폰 같은 무선 통신기기도 수출액이 26.5% 증가했고, 바이오헬스와 이차전지, 선박 등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달 전체 수입액은 533억 2천만 달러로, 2.7%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8억 8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해, 미국과의 관세 협의를 지속해 나가고,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 여파’ 속 대미 수출 6.8%↓…4월 전체 수출은 3.7%↑
-
- 입력 2025-05-01 17:14:17
- 수정2025-05-01 21:54:45

[앵커]
'관세 여파' 속에 지난달 대미국 수출이 7%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4월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하며 같은달 기준 최고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06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해 6.8% 감소했습니다.
대미 수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의 경우 수출액이 16% 가량 줄었고, 2위 품목인 일반기계도 22% 넘게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부문 대미 수출도 31%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대미 흑자 규모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9억 달러 가량 줄어든 45억 달러에 그쳤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여파와 함께 미국 경기 흐름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박정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미국의 관세 영향이 분명히 나타나고는 있는 것이고요. 그러나 그게 기계적으로, 산술적으로 모두 우리 수출의 감소세를 똑같이 유발하는 것은 아니고, 품목마다 시장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 요인들이..."]
하지만 지난달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한 582억 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HBM 같은 고부가 메모리의 수요가 늘며, 반도체 수출액은 역대 4월 최고 실적인 11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또, 스마트폰 같은 무선 통신기기도 수출액이 26.5% 증가했고, 바이오헬스와 이차전지, 선박 등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달 전체 수입액은 533억 2천만 달러로, 2.7%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8억 8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해, 미국과의 관세 협의를 지속해 나가고,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관세 여파' 속에 지난달 대미국 수출이 7%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4월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하며 같은달 기준 최고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06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해 6.8% 감소했습니다.
대미 수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의 경우 수출액이 16% 가량 줄었고, 2위 품목인 일반기계도 22% 넘게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부문 대미 수출도 31%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대미 흑자 규모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9억 달러 가량 줄어든 45억 달러에 그쳤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여파와 함께 미국 경기 흐름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박정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미국의 관세 영향이 분명히 나타나고는 있는 것이고요. 그러나 그게 기계적으로, 산술적으로 모두 우리 수출의 감소세를 똑같이 유발하는 것은 아니고, 품목마다 시장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 요인들이..."]
하지만 지난달 전체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7% 증가한 582억 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HBM 같은 고부가 메모리의 수요가 늘며, 반도체 수출액은 역대 4월 최고 실적인 11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또, 스마트폰 같은 무선 통신기기도 수출액이 26.5% 증가했고, 바이오헬스와 이차전지, 선박 등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달 전체 수입액은 533억 2천만 달러로, 2.7%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8억 8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해, 미국과의 관세 협의를 지속해 나가고,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