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찾다 보험사기꾼 될 뻔”…이러면 의심하세요

입력 2025.04.28 (18:17) 수정 2025.04.28 (18: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험사기에 동참할 가짜 환자를 모집한다는 광고 글이 최근 온라인에서 퍼지고 있습니다.

'고액 알바' 등 솔깃한 제안을 앞세워 접근하는데, 섣불리 응했다가는 보험사기 공범이 될 수 있습니다.

김진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출 관련 인터넷 카페에 게시된 글입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하면 도와줄 수 있다며, 휴대전화 개통 사기나 불법 대출이 아니라고 홍보합니다.

대출 광고인 줄 알고 연락했더니 보험 가입 여부부터 묻습니다.

보험금 청구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다고 유혹합니다.

가입한 보험을 알려주면 거기에 맞는 맞춤형 보험사기를 기획해 제안하는 겁니다.

제안을 받아들이면 필요한 위조 진단서 등을 제공합니다.

협력 병원이 있으니 문제없다고 안심시키기도 합니다.

보험사의 현장 조사를 피하는 수법도 알려줍니다.

실손보험은 100만 원 이하 소액으로 청구하기.

가입한 지 3년 이상 지난 보험은 뇌졸중 등 고액 진단금을 청구하기 등입니다.

돈이 필요한 취업 준비생 등 청년층에게 주로 접근했고, 보험금을 타 내면 30~40%는 브로커들이 수수료 명목으로 챙겼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소비자경보를 내렸습니다.

이런 제안에 응하면 공모자도 보험사기 공범으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NS 상담 중 보험을 이용해 돈을 벌 수 있다는 제안이 오면, 금감원이나 보험사기 신고센터에 적극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보험사기로 확인되면 신고 포상금은 최대 20억 원입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알바 찾다 보험사기꾼 될 뻔”…이러면 의심하세요
    • 입력 2025-04-28 18:17:55
    • 수정2025-04-28 18:25:23
    경제콘서트
[앵커]

보험사기에 동참할 가짜 환자를 모집한다는 광고 글이 최근 온라인에서 퍼지고 있습니다.

'고액 알바' 등 솔깃한 제안을 앞세워 접근하는데, 섣불리 응했다가는 보험사기 공범이 될 수 있습니다.

김진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출 관련 인터넷 카페에 게시된 글입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하면 도와줄 수 있다며, 휴대전화 개통 사기나 불법 대출이 아니라고 홍보합니다.

대출 광고인 줄 알고 연락했더니 보험 가입 여부부터 묻습니다.

보험금 청구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다고 유혹합니다.

가입한 보험을 알려주면 거기에 맞는 맞춤형 보험사기를 기획해 제안하는 겁니다.

제안을 받아들이면 필요한 위조 진단서 등을 제공합니다.

협력 병원이 있으니 문제없다고 안심시키기도 합니다.

보험사의 현장 조사를 피하는 수법도 알려줍니다.

실손보험은 100만 원 이하 소액으로 청구하기.

가입한 지 3년 이상 지난 보험은 뇌졸중 등 고액 진단금을 청구하기 등입니다.

돈이 필요한 취업 준비생 등 청년층에게 주로 접근했고, 보험금을 타 내면 30~40%는 브로커들이 수수료 명목으로 챙겼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소비자경보를 내렸습니다.

이런 제안에 응하면 공모자도 보험사기 공범으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NS 상담 중 보험을 이용해 돈을 벌 수 있다는 제안이 오면, 금감원이나 보험사기 신고센터에 적극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보험사기로 확인되면 신고 포상금은 최대 20억 원입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