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28일부터 희망 고객에 유심 무료 교체”

입력 2025.04.25 (11:00) 수정 2025.04.25 (14: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의 유심 관련 정보를 해킹당한 SK텔레콤이 원하는 모든 고객에게 유심을 무료로 교체해 주기로 했습니다.

SK텔레콤은 오늘(25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사옥에서 언론 설명회를 열고, "고객들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28일부터 유심 무료 교체를 포함해 한층 강화된 고객 정보 보호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SK텔레콤 유영상 대표는 이 자리에서 "고객의 소중한 정보를 보호해야 할 책무가 있는 국가 기관 통신 사업자로서 이번 사고에 대해 저를 비롯한 SK텔레콤 임직원 모두가 깊은 유감과 책임을 느낀다"며 임원들과 함께 고개를 숙였습니다.

유 대표는 그러나 해킹의 원인과 피해 규모 등에 대해서는 정부 조사가 막 시작된 상황이라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는 자리를 다시 마련하겠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유심 교체를 원하는 SK텔레콤 이용자는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티월드(T World)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무료로 유심을 바꿀 수 있습니다.

단, 해킹 사고가 일어난 지난 18일 밤 12시 기준 SK텔레콤 가입자여야 합니다.

만일 이용자가 많아 당일 교체가 어렵다면 방문한 매장에서 예약 신청이 가능합니다.

70세 이상의 장애인이거나 도서벽지에 거주해 직접 대리점에 가기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에는 고객센터 상담사가 직접 전화를 걸어 가입을 안내하고, 원할 경우 본인 인증 절차 등을 거쳐 대리 가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 SKT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이용자도 무료로 유심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해킹 소식을 접하고 이미 유심을 교체했다면 교체 비용 7,7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SK텔레콤 홍승태 고객가치 혁신실장은 "지금까지 한 3만 명 정도가 이미 유심을 교체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납부 요금에서 감액해 드리는 방식으로 환급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아직 대다수 SK텔레콤 이용자가 해킹 사고 관련 개별 문자 안내를 받지 못한 데 대해 배병찬 MNO AT 본부장은 "시스템 부하 문제 등이 있어 한꺼번에 2,400만 고객에게 문자를 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어제(24일)까지 160만 명에게 문자로 해킹 피해를 안내했고, 오늘부터는 하루 5백만 명 정도에 문자를 전송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조치는 앞선 ‘유심 보호 서비스’와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FDS) 강화 시행에 이어 고객이 느낄 불안감을 최대한 해소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고, SK텔레콤 측은 설명했습니다.

또 해킹 사고 이후, 불법 유심 복제를 막기 위해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 기준을 최고 수준으로 격상해 운용 중이며, 실시간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유심 보호 서비스'는 해외 로밍 서비스와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데, SK텔레콤은 추후 해외 로밍 가입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보안 조치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해킹 사고 이후 SK텔레콤이 제공하고 있는 '유심 보호 서비스'는 지난 22일부터 사흘 동안 206만 명이 새로 가입했고, 누적 가입자는 240만 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K텔레콤 “28일부터 희망 고객에 유심 무료 교체”
    • 입력 2025-04-25 11:00:29
    • 수정2025-04-25 14:17:43
    IT·과학
고객의 유심 관련 정보를 해킹당한 SK텔레콤이 원하는 모든 고객에게 유심을 무료로 교체해 주기로 했습니다.

SK텔레콤은 오늘(25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사옥에서 언론 설명회를 열고, "고객들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28일부터 유심 무료 교체를 포함해 한층 강화된 고객 정보 보호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SK텔레콤 유영상 대표는 이 자리에서 "고객의 소중한 정보를 보호해야 할 책무가 있는 국가 기관 통신 사업자로서 이번 사고에 대해 저를 비롯한 SK텔레콤 임직원 모두가 깊은 유감과 책임을 느낀다"며 임원들과 함께 고개를 숙였습니다.

유 대표는 그러나 해킹의 원인과 피해 규모 등에 대해서는 정부 조사가 막 시작된 상황이라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는 자리를 다시 마련하겠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유심 교체를 원하는 SK텔레콤 이용자는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티월드(T World)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무료로 유심을 바꿀 수 있습니다.

단, 해킹 사고가 일어난 지난 18일 밤 12시 기준 SK텔레콤 가입자여야 합니다.

만일 이용자가 많아 당일 교체가 어렵다면 방문한 매장에서 예약 신청이 가능합니다.

70세 이상의 장애인이거나 도서벽지에 거주해 직접 대리점에 가기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에는 고객센터 상담사가 직접 전화를 걸어 가입을 안내하고, 원할 경우 본인 인증 절차 등을 거쳐 대리 가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 SKT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이용자도 무료로 유심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해킹 소식을 접하고 이미 유심을 교체했다면 교체 비용 7,7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SK텔레콤 홍승태 고객가치 혁신실장은 "지금까지 한 3만 명 정도가 이미 유심을 교체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납부 요금에서 감액해 드리는 방식으로 환급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아직 대다수 SK텔레콤 이용자가 해킹 사고 관련 개별 문자 안내를 받지 못한 데 대해 배병찬 MNO AT 본부장은 "시스템 부하 문제 등이 있어 한꺼번에 2,400만 고객에게 문자를 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어제(24일)까지 160만 명에게 문자로 해킹 피해를 안내했고, 오늘부터는 하루 5백만 명 정도에 문자를 전송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조치는 앞선 ‘유심 보호 서비스’와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FDS) 강화 시행에 이어 고객이 느낄 불안감을 최대한 해소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고, SK텔레콤 측은 설명했습니다.

또 해킹 사고 이후, 불법 유심 복제를 막기 위해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 기준을 최고 수준으로 격상해 운용 중이며, 실시간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유심 보호 서비스'는 해외 로밍 서비스와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데, SK텔레콤은 추후 해외 로밍 가입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보안 조치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해킹 사고 이후 SK텔레콤이 제공하고 있는 '유심 보호 서비스'는 지난 22일부터 사흘 동안 206만 명이 새로 가입했고, 누적 가입자는 240만 명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