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에도 중개수수료?…배민 시행 첫 주부터 ‘시끌’ [뉴스in뉴스]
입력 2025.04.18 (12:46)
수정 2025.04.18 (13: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배달 플랫폼 1위, '배달의민족'이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내도록 했습니다.
업주들은 반발하고 있는데요.
경제산업부 김채린 기자와 좀 더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포장 주문이면 고객들이 앱으로 주문하고 직접 가서 받아 가는 거잖아요?
그런 경우에도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결제금액의 6.8%인데요.
10% 부가세는 별도라서 이것까지 더하면 실제론 결제금액의 7.5% 정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손님이 2만 원짜리 포장 주문을 했다고 하면,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로 2만 원의 7.5%인 천5백 원가량을 가져가는 거죠.
[앵커]
배달의민족이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기로 한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2020년부터 지금과 비슷한 형태의 음식 포장 주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이때부터 받았어야 하는 포장 중개료를 미루고 미루다 5년 뒤인 이제서야 받는 거라고 설명합니다.
업주들이 배달 앱으로 더 간편하게 주문을 받을 수 있게 됐으니 이용료를 받았어야 하지만, 코로나19 시기 등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해 포장 중개 수수료를 계속 면제해 왔다는 겁니다.
배달 주문이나 포장 주문이나 배달의민족 앱을 이용하는 건 똑같고, 서비스 개발, 운영비가 들어가는데 그동안 포장 중개에서 나오는 수익이 없었다, 결국 다른 데서 번 돈을 포장 중개하는 데에 써야 한다는 건데 서비스 구조상 맞지 않는 거 아니냐, 이런 논리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만 이런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그건 아닙니다.
다른 플랫폼도 받고 있는데요.
요기요는 7.7%, 공공배달앱 먹깨비는 1.5%의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쿠팡이츠는 무료로 포장 중개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안 들어가던 돈이 갑자기 들어가게 된 거니까, 업주들 입장에서는 당연히 부담되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물론 업종별로 그 여파에 차이는 있겠지만, 추가 지출은 불가피한데요.
분식점 사장님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영명/분식집 사장 : "작년에 배달의민족에서 발생한 매출을 찾아봤더니 포장 주문으로 발생한 주문 건에 중개 수수료가 추가가 되게 되면, 소득이 월에는 16만 원 정도, 연간 한 190만 원 정도 감소하더라고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앞으로는 배달의민족 앱을 사용하지 말고 매장에 직접 전화하거나 수수료가 저렴한 플랫폼을 통해 포장 주문을 해달라고 손님들에게 부탁하겠다는 업주도 있었고요.
배달의민족으로는 더 이상 포장 주문을 받지 않겠다, 나아가서 아예 배달의민족 앱을 쓰지 않겠다, 회원에서 탈퇴했다는 가게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일부 업주는 포장 손님에게 제공하던 서비스 메뉴, 할인 혜택을 없애는 등 다른 비용 절감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할인 혜택을 없앤다면 소비자들한테도 부담이 가는 거 아닌가요?
[기자]
이번 포장 수수료는 업주한테 부과되는 거고, 소비자가 내는 돈이 당장 늘어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앞으로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포장 수수료 부담 때문에 업주들이 결국 포장 메뉴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실제로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와 배달료를 받고 있는 배달 메뉴 가격을 보면요.
매장 주문 가격보다 더 높게 정해진 이른바 '이중 가격제'가 일반화돼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제가 만난 한 시민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배달의민족 이용 소비자 : "판매하면서 마진이라는 게 좀 있어야 되는데 업주도 당연히 경기가 어려워서 힘들 텐데 업주 입장에서도 당연히 부담이 되고, (결국) 소비자가 이용하는 가격이 더 올라가게 되니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한 거 같아요."]
[앵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업주 모두 불만이 많은 건데, 그렇다고 배달의민족이 이미 시작된 수수료 제도를 다시 철회할 가능성은 작아 보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이미 5년 동안 무료 정책을 폈고, 지난해 7월부터 시간을 두고 전면 유료화를 예고했기 때문에 포장 중개 수수료는 불가피하단 게 배달의민족 입장이고요.
다만 새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을 서비스 개선에도 투자하겠다고 했습니다.
포장 주문 서비스를 더 편리하게 만들고 이용도 활성화해서, 소비자와 업주에게 모두 이익이 돌아가게 하겠다는 건데요.
우선 소비자에게는 직접 가서 음식을 받아오는 만큼,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포장 주문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겠단 거고요.
업주 입장에서도 포장 주문이 늘수록 수익성이 높아질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포장 주문은 업주가 배달비를 부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남는 게 더 많다는 거죠.
현재 배달의민족 앱에서 포장 주문은 전체 주문의 5% 정도에 그치는 걸로 알려졌는데요.
배달의민족은 연간 300억 원을 투자해 이 비중을 두 자릿수로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같은 배달앱의 수수료 논란은 이전에도 있었잖아요?
[기자]
네 배달 플랫폼이 단순 중개만으로 10%가량의 수수료를 받아 가는 건 너무 과하다, 이런 반발이 꾸준히 있었죠.
결국 배달의민족은 수수료를 낮추되 매출에 따라 배달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는 상생안을 지난 2월부터 시행해 왔습니다.
그런데 채 두 달도 안돼 또다시 수수료를 추가한 건데요.
이 때문에 소상공인과 상생 의지가 있는 거 맞냐 이런 의심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공식적인 집계는 없지만, 배달의민족은 배달앱 사용자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이 60%에 가까운 절대 강자입니다.
요즘 배달앱 안 쓰는 사람을 찾기가 힘든데, 공공배달 앱은 제대로 활용이 안 되고 있고, 자영업자들은 배달의민족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이런 상황에서 배달 플랫폼 수수료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앵커]
현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지 잘 지켜봐야겠네요.
김채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신선미 강지은/그래픽:서수민
국내 배달 플랫폼 1위, '배달의민족'이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내도록 했습니다.
업주들은 반발하고 있는데요.
경제산업부 김채린 기자와 좀 더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포장 주문이면 고객들이 앱으로 주문하고 직접 가서 받아 가는 거잖아요?
그런 경우에도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결제금액의 6.8%인데요.
10% 부가세는 별도라서 이것까지 더하면 실제론 결제금액의 7.5% 정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손님이 2만 원짜리 포장 주문을 했다고 하면,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로 2만 원의 7.5%인 천5백 원가량을 가져가는 거죠.
[앵커]
배달의민족이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기로 한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2020년부터 지금과 비슷한 형태의 음식 포장 주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이때부터 받았어야 하는 포장 중개료를 미루고 미루다 5년 뒤인 이제서야 받는 거라고 설명합니다.
업주들이 배달 앱으로 더 간편하게 주문을 받을 수 있게 됐으니 이용료를 받았어야 하지만, 코로나19 시기 등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해 포장 중개 수수료를 계속 면제해 왔다는 겁니다.
배달 주문이나 포장 주문이나 배달의민족 앱을 이용하는 건 똑같고, 서비스 개발, 운영비가 들어가는데 그동안 포장 중개에서 나오는 수익이 없었다, 결국 다른 데서 번 돈을 포장 중개하는 데에 써야 한다는 건데 서비스 구조상 맞지 않는 거 아니냐, 이런 논리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만 이런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그건 아닙니다.
다른 플랫폼도 받고 있는데요.
요기요는 7.7%, 공공배달앱 먹깨비는 1.5%의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쿠팡이츠는 무료로 포장 중개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안 들어가던 돈이 갑자기 들어가게 된 거니까, 업주들 입장에서는 당연히 부담되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물론 업종별로 그 여파에 차이는 있겠지만, 추가 지출은 불가피한데요.
분식점 사장님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영명/분식집 사장 : "작년에 배달의민족에서 발생한 매출을 찾아봤더니 포장 주문으로 발생한 주문 건에 중개 수수료가 추가가 되게 되면, 소득이 월에는 16만 원 정도, 연간 한 190만 원 정도 감소하더라고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앞으로는 배달의민족 앱을 사용하지 말고 매장에 직접 전화하거나 수수료가 저렴한 플랫폼을 통해 포장 주문을 해달라고 손님들에게 부탁하겠다는 업주도 있었고요.
배달의민족으로는 더 이상 포장 주문을 받지 않겠다, 나아가서 아예 배달의민족 앱을 쓰지 않겠다, 회원에서 탈퇴했다는 가게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일부 업주는 포장 손님에게 제공하던 서비스 메뉴, 할인 혜택을 없애는 등 다른 비용 절감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할인 혜택을 없앤다면 소비자들한테도 부담이 가는 거 아닌가요?
[기자]
이번 포장 수수료는 업주한테 부과되는 거고, 소비자가 내는 돈이 당장 늘어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앞으로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포장 수수료 부담 때문에 업주들이 결국 포장 메뉴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실제로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와 배달료를 받고 있는 배달 메뉴 가격을 보면요.
매장 주문 가격보다 더 높게 정해진 이른바 '이중 가격제'가 일반화돼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제가 만난 한 시민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배달의민족 이용 소비자 : "판매하면서 마진이라는 게 좀 있어야 되는데 업주도 당연히 경기가 어려워서 힘들 텐데 업주 입장에서도 당연히 부담이 되고, (결국) 소비자가 이용하는 가격이 더 올라가게 되니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한 거 같아요."]
[앵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업주 모두 불만이 많은 건데, 그렇다고 배달의민족이 이미 시작된 수수료 제도를 다시 철회할 가능성은 작아 보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이미 5년 동안 무료 정책을 폈고, 지난해 7월부터 시간을 두고 전면 유료화를 예고했기 때문에 포장 중개 수수료는 불가피하단 게 배달의민족 입장이고요.
다만 새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을 서비스 개선에도 투자하겠다고 했습니다.
포장 주문 서비스를 더 편리하게 만들고 이용도 활성화해서, 소비자와 업주에게 모두 이익이 돌아가게 하겠다는 건데요.
우선 소비자에게는 직접 가서 음식을 받아오는 만큼,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포장 주문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겠단 거고요.
업주 입장에서도 포장 주문이 늘수록 수익성이 높아질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포장 주문은 업주가 배달비를 부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남는 게 더 많다는 거죠.
현재 배달의민족 앱에서 포장 주문은 전체 주문의 5% 정도에 그치는 걸로 알려졌는데요.
배달의민족은 연간 300억 원을 투자해 이 비중을 두 자릿수로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같은 배달앱의 수수료 논란은 이전에도 있었잖아요?
[기자]
네 배달 플랫폼이 단순 중개만으로 10%가량의 수수료를 받아 가는 건 너무 과하다, 이런 반발이 꾸준히 있었죠.
결국 배달의민족은 수수료를 낮추되 매출에 따라 배달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는 상생안을 지난 2월부터 시행해 왔습니다.
그런데 채 두 달도 안돼 또다시 수수료를 추가한 건데요.
이 때문에 소상공인과 상생 의지가 있는 거 맞냐 이런 의심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공식적인 집계는 없지만, 배달의민족은 배달앱 사용자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이 60%에 가까운 절대 강자입니다.
요즘 배달앱 안 쓰는 사람을 찾기가 힘든데, 공공배달 앱은 제대로 활용이 안 되고 있고, 자영업자들은 배달의민족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이런 상황에서 배달 플랫폼 수수료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앵커]
현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지 잘 지켜봐야겠네요.
김채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신선미 강지은/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포장에도 중개수수료?…배민 시행 첫 주부터 ‘시끌’ [뉴스in뉴스]
-
- 입력 2025-04-18 12:46:42
- 수정2025-04-18 13:05:25

[앵커]
국내 배달 플랫폼 1위, '배달의민족'이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내도록 했습니다.
업주들은 반발하고 있는데요.
경제산업부 김채린 기자와 좀 더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포장 주문이면 고객들이 앱으로 주문하고 직접 가서 받아 가는 거잖아요?
그런 경우에도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결제금액의 6.8%인데요.
10% 부가세는 별도라서 이것까지 더하면 실제론 결제금액의 7.5% 정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손님이 2만 원짜리 포장 주문을 했다고 하면,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로 2만 원의 7.5%인 천5백 원가량을 가져가는 거죠.
[앵커]
배달의민족이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기로 한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2020년부터 지금과 비슷한 형태의 음식 포장 주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이때부터 받았어야 하는 포장 중개료를 미루고 미루다 5년 뒤인 이제서야 받는 거라고 설명합니다.
업주들이 배달 앱으로 더 간편하게 주문을 받을 수 있게 됐으니 이용료를 받았어야 하지만, 코로나19 시기 등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해 포장 중개 수수료를 계속 면제해 왔다는 겁니다.
배달 주문이나 포장 주문이나 배달의민족 앱을 이용하는 건 똑같고, 서비스 개발, 운영비가 들어가는데 그동안 포장 중개에서 나오는 수익이 없었다, 결국 다른 데서 번 돈을 포장 중개하는 데에 써야 한다는 건데 서비스 구조상 맞지 않는 거 아니냐, 이런 논리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만 이런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그건 아닙니다.
다른 플랫폼도 받고 있는데요.
요기요는 7.7%, 공공배달앱 먹깨비는 1.5%의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쿠팡이츠는 무료로 포장 중개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안 들어가던 돈이 갑자기 들어가게 된 거니까, 업주들 입장에서는 당연히 부담되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물론 업종별로 그 여파에 차이는 있겠지만, 추가 지출은 불가피한데요.
분식점 사장님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영명/분식집 사장 : "작년에 배달의민족에서 발생한 매출을 찾아봤더니 포장 주문으로 발생한 주문 건에 중개 수수료가 추가가 되게 되면, 소득이 월에는 16만 원 정도, 연간 한 190만 원 정도 감소하더라고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앞으로는 배달의민족 앱을 사용하지 말고 매장에 직접 전화하거나 수수료가 저렴한 플랫폼을 통해 포장 주문을 해달라고 손님들에게 부탁하겠다는 업주도 있었고요.
배달의민족으로는 더 이상 포장 주문을 받지 않겠다, 나아가서 아예 배달의민족 앱을 쓰지 않겠다, 회원에서 탈퇴했다는 가게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일부 업주는 포장 손님에게 제공하던 서비스 메뉴, 할인 혜택을 없애는 등 다른 비용 절감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할인 혜택을 없앤다면 소비자들한테도 부담이 가는 거 아닌가요?
[기자]
이번 포장 수수료는 업주한테 부과되는 거고, 소비자가 내는 돈이 당장 늘어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앞으로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포장 수수료 부담 때문에 업주들이 결국 포장 메뉴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실제로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와 배달료를 받고 있는 배달 메뉴 가격을 보면요.
매장 주문 가격보다 더 높게 정해진 이른바 '이중 가격제'가 일반화돼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제가 만난 한 시민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배달의민족 이용 소비자 : "판매하면서 마진이라는 게 좀 있어야 되는데 업주도 당연히 경기가 어려워서 힘들 텐데 업주 입장에서도 당연히 부담이 되고, (결국) 소비자가 이용하는 가격이 더 올라가게 되니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한 거 같아요."]
[앵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업주 모두 불만이 많은 건데, 그렇다고 배달의민족이 이미 시작된 수수료 제도를 다시 철회할 가능성은 작아 보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이미 5년 동안 무료 정책을 폈고, 지난해 7월부터 시간을 두고 전면 유료화를 예고했기 때문에 포장 중개 수수료는 불가피하단 게 배달의민족 입장이고요.
다만 새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을 서비스 개선에도 투자하겠다고 했습니다.
포장 주문 서비스를 더 편리하게 만들고 이용도 활성화해서, 소비자와 업주에게 모두 이익이 돌아가게 하겠다는 건데요.
우선 소비자에게는 직접 가서 음식을 받아오는 만큼,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포장 주문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겠단 거고요.
업주 입장에서도 포장 주문이 늘수록 수익성이 높아질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포장 주문은 업주가 배달비를 부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남는 게 더 많다는 거죠.
현재 배달의민족 앱에서 포장 주문은 전체 주문의 5% 정도에 그치는 걸로 알려졌는데요.
배달의민족은 연간 300억 원을 투자해 이 비중을 두 자릿수로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같은 배달앱의 수수료 논란은 이전에도 있었잖아요?
[기자]
네 배달 플랫폼이 단순 중개만으로 10%가량의 수수료를 받아 가는 건 너무 과하다, 이런 반발이 꾸준히 있었죠.
결국 배달의민족은 수수료를 낮추되 매출에 따라 배달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는 상생안을 지난 2월부터 시행해 왔습니다.
그런데 채 두 달도 안돼 또다시 수수료를 추가한 건데요.
이 때문에 소상공인과 상생 의지가 있는 거 맞냐 이런 의심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공식적인 집계는 없지만, 배달의민족은 배달앱 사용자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이 60%에 가까운 절대 강자입니다.
요즘 배달앱 안 쓰는 사람을 찾기가 힘든데, 공공배달 앱은 제대로 활용이 안 되고 있고, 자영업자들은 배달의민족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이런 상황에서 배달 플랫폼 수수료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앵커]
현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지 잘 지켜봐야겠네요.
김채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신선미 강지은/그래픽:서수민
국내 배달 플랫폼 1위, '배달의민족'이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내도록 했습니다.
업주들은 반발하고 있는데요.
경제산업부 김채린 기자와 좀 더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포장 주문이면 고객들이 앱으로 주문하고 직접 가서 받아 가는 거잖아요?
그런 경우에도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결제금액의 6.8%인데요.
10% 부가세는 별도라서 이것까지 더하면 실제론 결제금액의 7.5% 정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손님이 2만 원짜리 포장 주문을 했다고 하면,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로 2만 원의 7.5%인 천5백 원가량을 가져가는 거죠.
[앵커]
배달의민족이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기로 한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2020년부터 지금과 비슷한 형태의 음식 포장 주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이때부터 받았어야 하는 포장 중개료를 미루고 미루다 5년 뒤인 이제서야 받는 거라고 설명합니다.
업주들이 배달 앱으로 더 간편하게 주문을 받을 수 있게 됐으니 이용료를 받았어야 하지만, 코로나19 시기 등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해 포장 중개 수수료를 계속 면제해 왔다는 겁니다.
배달 주문이나 포장 주문이나 배달의민족 앱을 이용하는 건 똑같고, 서비스 개발, 운영비가 들어가는데 그동안 포장 중개에서 나오는 수익이 없었다, 결국 다른 데서 번 돈을 포장 중개하는 데에 써야 한다는 건데 서비스 구조상 맞지 않는 거 아니냐, 이런 논리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만 이런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그건 아닙니다.
다른 플랫폼도 받고 있는데요.
요기요는 7.7%, 공공배달앱 먹깨비는 1.5%의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쿠팡이츠는 무료로 포장 중개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안 들어가던 돈이 갑자기 들어가게 된 거니까, 업주들 입장에서는 당연히 부담되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물론 업종별로 그 여파에 차이는 있겠지만, 추가 지출은 불가피한데요.
분식점 사장님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영명/분식집 사장 : "작년에 배달의민족에서 발생한 매출을 찾아봤더니 포장 주문으로 발생한 주문 건에 중개 수수료가 추가가 되게 되면, 소득이 월에는 16만 원 정도, 연간 한 190만 원 정도 감소하더라고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앞으로는 배달의민족 앱을 사용하지 말고 매장에 직접 전화하거나 수수료가 저렴한 플랫폼을 통해 포장 주문을 해달라고 손님들에게 부탁하겠다는 업주도 있었고요.
배달의민족으로는 더 이상 포장 주문을 받지 않겠다, 나아가서 아예 배달의민족 앱을 쓰지 않겠다, 회원에서 탈퇴했다는 가게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일부 업주는 포장 손님에게 제공하던 서비스 메뉴, 할인 혜택을 없애는 등 다른 비용 절감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할인 혜택을 없앤다면 소비자들한테도 부담이 가는 거 아닌가요?
[기자]
이번 포장 수수료는 업주한테 부과되는 거고, 소비자가 내는 돈이 당장 늘어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앞으로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포장 수수료 부담 때문에 업주들이 결국 포장 메뉴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실제로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와 배달료를 받고 있는 배달 메뉴 가격을 보면요.
매장 주문 가격보다 더 높게 정해진 이른바 '이중 가격제'가 일반화돼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제가 만난 한 시민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배달의민족 이용 소비자 : "판매하면서 마진이라는 게 좀 있어야 되는데 업주도 당연히 경기가 어려워서 힘들 텐데 업주 입장에서도 당연히 부담이 되고, (결국) 소비자가 이용하는 가격이 더 올라가게 되니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한 거 같아요."]
[앵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업주 모두 불만이 많은 건데, 그렇다고 배달의민족이 이미 시작된 수수료 제도를 다시 철회할 가능성은 작아 보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이미 5년 동안 무료 정책을 폈고, 지난해 7월부터 시간을 두고 전면 유료화를 예고했기 때문에 포장 중개 수수료는 불가피하단 게 배달의민족 입장이고요.
다만 새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을 서비스 개선에도 투자하겠다고 했습니다.
포장 주문 서비스를 더 편리하게 만들고 이용도 활성화해서, 소비자와 업주에게 모두 이익이 돌아가게 하겠다는 건데요.
우선 소비자에게는 직접 가서 음식을 받아오는 만큼,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포장 주문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겠단 거고요.
업주 입장에서도 포장 주문이 늘수록 수익성이 높아질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포장 주문은 업주가 배달비를 부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남는 게 더 많다는 거죠.
현재 배달의민족 앱에서 포장 주문은 전체 주문의 5% 정도에 그치는 걸로 알려졌는데요.
배달의민족은 연간 300억 원을 투자해 이 비중을 두 자릿수로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같은 배달앱의 수수료 논란은 이전에도 있었잖아요?
[기자]
네 배달 플랫폼이 단순 중개만으로 10%가량의 수수료를 받아 가는 건 너무 과하다, 이런 반발이 꾸준히 있었죠.
결국 배달의민족은 수수료를 낮추되 매출에 따라 배달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는 상생안을 지난 2월부터 시행해 왔습니다.
그런데 채 두 달도 안돼 또다시 수수료를 추가한 건데요.
이 때문에 소상공인과 상생 의지가 있는 거 맞냐 이런 의심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공식적인 집계는 없지만, 배달의민족은 배달앱 사용자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이 60%에 가까운 절대 강자입니다.
요즘 배달앱 안 쓰는 사람을 찾기가 힘든데, 공공배달 앱은 제대로 활용이 안 되고 있고, 자영업자들은 배달의민족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이런 상황에서 배달 플랫폼 수수료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앵커]
현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지 잘 지켜봐야겠네요.
김채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신선미 강지은/그래픽:서수민
-
-
김채린 기자 dig@kbs.co.kr
김채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