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가닥…내일 발표할 듯
입력 2025.04.16 (19:13)
수정 2025.04.16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정 갈등의 핵심 쟁점이었던 의대 증원 정책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사실상 백지화 수순에 들어갔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확정하고 내일 공식 발표할 걸로 보입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3,058명'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증원 전인 2024학년도와 똑같은 규몹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부, 복지부 등 의정 갈등 관련 부처가 비공개로 뜻을 모았습니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도 화상 회의를 열고 정부를 거들었습니다.
[양오봉/전북대 총장/의총협 공동 회장 :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하는 것이 대학의 의무이기 때문에 이런 결단을 내게 된 것."]
이런 내용은 내일 정부 발표를 통해 공식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 온 의대 증원 정책이 1년 2개월 만에 사실상 백지화되는 겁니다.
증원 철회는 없다던 정부는 올해 초 입장을 바꿔, 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복귀할 경우 '3,058명 안'을 수용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이주호/교육부 장관/지난달 7일 :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2024학년도 정원 수준으로 조정하는 방안은 철회되고…"]
당초 정부는 '정상적으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을 기준으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할 방침이었습니다.
지난달 10%대였던 수업 참여율이 30%선 가까이 오르기는 했지만, 정부의 기대 수준엔 한참 못 미치고 있습니다.
정부가 또 물러섰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엔 의대생들 복귀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수업 얼마 정도 듣고 있나요?) 저희도 진짜 몰라요."]
수업 불참 장기화로 대량 유급이 현실화될 경우 수업 인원이 세 배가 되는 '트리플링' 가능성이 커지는 점도 정부엔 부담이 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여현수
의정 갈등의 핵심 쟁점이었던 의대 증원 정책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사실상 백지화 수순에 들어갔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확정하고 내일 공식 발표할 걸로 보입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3,058명'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증원 전인 2024학년도와 똑같은 규몹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부, 복지부 등 의정 갈등 관련 부처가 비공개로 뜻을 모았습니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도 화상 회의를 열고 정부를 거들었습니다.
[양오봉/전북대 총장/의총협 공동 회장 :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하는 것이 대학의 의무이기 때문에 이런 결단을 내게 된 것."]
이런 내용은 내일 정부 발표를 통해 공식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 온 의대 증원 정책이 1년 2개월 만에 사실상 백지화되는 겁니다.
증원 철회는 없다던 정부는 올해 초 입장을 바꿔, 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복귀할 경우 '3,058명 안'을 수용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이주호/교육부 장관/지난달 7일 :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2024학년도 정원 수준으로 조정하는 방안은 철회되고…"]
당초 정부는 '정상적으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을 기준으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할 방침이었습니다.
지난달 10%대였던 수업 참여율이 30%선 가까이 오르기는 했지만, 정부의 기대 수준엔 한참 못 미치고 있습니다.
정부가 또 물러섰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엔 의대생들 복귀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수업 얼마 정도 듣고 있나요?) 저희도 진짜 몰라요."]
수업 불참 장기화로 대량 유급이 현실화될 경우 수업 인원이 세 배가 되는 '트리플링' 가능성이 커지는 점도 정부엔 부담이 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가닥…내일 발표할 듯
-
- 입력 2025-04-16 19:13:15
- 수정2025-04-16 19:45:59

[앵커]
의정 갈등의 핵심 쟁점이었던 의대 증원 정책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사실상 백지화 수순에 들어갔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확정하고 내일 공식 발표할 걸로 보입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3,058명'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증원 전인 2024학년도와 똑같은 규몹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부, 복지부 등 의정 갈등 관련 부처가 비공개로 뜻을 모았습니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도 화상 회의를 열고 정부를 거들었습니다.
[양오봉/전북대 총장/의총협 공동 회장 :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하는 것이 대학의 의무이기 때문에 이런 결단을 내게 된 것."]
이런 내용은 내일 정부 발표를 통해 공식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 온 의대 증원 정책이 1년 2개월 만에 사실상 백지화되는 겁니다.
증원 철회는 없다던 정부는 올해 초 입장을 바꿔, 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복귀할 경우 '3,058명 안'을 수용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이주호/교육부 장관/지난달 7일 :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2024학년도 정원 수준으로 조정하는 방안은 철회되고…"]
당초 정부는 '정상적으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을 기준으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할 방침이었습니다.
지난달 10%대였던 수업 참여율이 30%선 가까이 오르기는 했지만, 정부의 기대 수준엔 한참 못 미치고 있습니다.
정부가 또 물러섰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엔 의대생들 복귀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수업 얼마 정도 듣고 있나요?) 저희도 진짜 몰라요."]
수업 불참 장기화로 대량 유급이 현실화될 경우 수업 인원이 세 배가 되는 '트리플링' 가능성이 커지는 점도 정부엔 부담이 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여현수
의정 갈등의 핵심 쟁점이었던 의대 증원 정책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사실상 백지화 수순에 들어갔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확정하고 내일 공식 발표할 걸로 보입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3,058명'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증원 전인 2024학년도와 똑같은 규몹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부, 복지부 등 의정 갈등 관련 부처가 비공개로 뜻을 모았습니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도 화상 회의를 열고 정부를 거들었습니다.
[양오봉/전북대 총장/의총협 공동 회장 :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하는 것이 대학의 의무이기 때문에 이런 결단을 내게 된 것."]
이런 내용은 내일 정부 발표를 통해 공식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 온 의대 증원 정책이 1년 2개월 만에 사실상 백지화되는 겁니다.
증원 철회는 없다던 정부는 올해 초 입장을 바꿔, 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복귀할 경우 '3,058명 안'을 수용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이주호/교육부 장관/지난달 7일 :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2024학년도 정원 수준으로 조정하는 방안은 철회되고…"]
당초 정부는 '정상적으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을 기준으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할 방침이었습니다.
지난달 10%대였던 수업 참여율이 30%선 가까이 오르기는 했지만, 정부의 기대 수준엔 한참 못 미치고 있습니다.
정부가 또 물러섰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엔 의대생들 복귀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수업 얼마 정도 듣고 있나요?) 저희도 진짜 몰라요."]
수업 불참 장기화로 대량 유급이 현실화될 경우 수업 인원이 세 배가 되는 '트리플링' 가능성이 커지는 점도 정부엔 부담이 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여현수
-
-
김성수 기자 ssoo@kbs.co.kr
김성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