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정, 연금개혁 실무회의…‘소득대체율’ 이견 계속
입력 2025.02.25 (06:28)
수정 2025.02.25 (1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정협의회 이후 여야와 정부가 연금 개혁 첫 실무협의에 나섰지만 소득대체율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민주당은 2월 국회에서 야당 안으로 단독 처리 가능성을 시사했고, 국민의힘은 민주당 주장은 미래세대에 빚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윤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협의회 후속 조치를 위해 여·야·정 실무회의가 열렸습니다.
연금 개혁안 논의를 이어갔지만,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내는 돈인 보험료율을 현재 9%에서 13%로 인상하는 데엔 공감대를 이뤘지만,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에서 국민의힘은 42~43%, 민주당은 44~45% 수준을 내세우며, 접점을 찾지 못한 겁니다.
민주당은 저출산 고령화 위기 극복을 위해 연금 개혁이 시급하다며 이번 국회에서 야당 안 단독 처리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인구,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액을 조정하는 자동조정 장치 도입에 대해서도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 "연금 관계에 직접적 이해를 가지고 있는 노동계를 비롯한 시민사회가 자동 조정 장치를 도입하는 데 대해서 대단히 신중해야 된다라고 하는, 반대 의견을 당에 전달해 왔고…."]
국민의힘은 자동조정 장치 도입 시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면서도, 민주당 주장대로 노후에 받는 돈을 높이겠다는 건 미래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윤희숙/여의도연구원장 : "청년들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다시 (소득대체율을) 44로 거꾸로 4%나 올리는 안을 왜 그렇게 하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까?"]
이런가운데 국민의힘은 오늘 청년 세대들의 연금 개혁에 대한 고민을 경청하는 간담회를 엽니다.
KBS 뉴스 이윤우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박장빈/영상편집:김선영
국정협의회 이후 여야와 정부가 연금 개혁 첫 실무협의에 나섰지만 소득대체율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민주당은 2월 국회에서 야당 안으로 단독 처리 가능성을 시사했고, 국민의힘은 민주당 주장은 미래세대에 빚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윤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협의회 후속 조치를 위해 여·야·정 실무회의가 열렸습니다.
연금 개혁안 논의를 이어갔지만,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내는 돈인 보험료율을 현재 9%에서 13%로 인상하는 데엔 공감대를 이뤘지만,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에서 국민의힘은 42~43%, 민주당은 44~45% 수준을 내세우며, 접점을 찾지 못한 겁니다.
민주당은 저출산 고령화 위기 극복을 위해 연금 개혁이 시급하다며 이번 국회에서 야당 안 단독 처리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인구,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액을 조정하는 자동조정 장치 도입에 대해서도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 "연금 관계에 직접적 이해를 가지고 있는 노동계를 비롯한 시민사회가 자동 조정 장치를 도입하는 데 대해서 대단히 신중해야 된다라고 하는, 반대 의견을 당에 전달해 왔고…."]
국민의힘은 자동조정 장치 도입 시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면서도, 민주당 주장대로 노후에 받는 돈을 높이겠다는 건 미래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윤희숙/여의도연구원장 : "청년들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다시 (소득대체율을) 44로 거꾸로 4%나 올리는 안을 왜 그렇게 하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까?"]
이런가운데 국민의힘은 오늘 청년 세대들의 연금 개혁에 대한 고민을 경청하는 간담회를 엽니다.
KBS 뉴스 이윤우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박장빈/영상편집: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야정, 연금개혁 실무회의…‘소득대체율’ 이견 계속
-
- 입력 2025-02-25 06:28:14
- 수정2025-02-25 10:04:07

[앵커]
국정협의회 이후 여야와 정부가 연금 개혁 첫 실무협의에 나섰지만 소득대체율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민주당은 2월 국회에서 야당 안으로 단독 처리 가능성을 시사했고, 국민의힘은 민주당 주장은 미래세대에 빚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윤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협의회 후속 조치를 위해 여·야·정 실무회의가 열렸습니다.
연금 개혁안 논의를 이어갔지만,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내는 돈인 보험료율을 현재 9%에서 13%로 인상하는 데엔 공감대를 이뤘지만,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에서 국민의힘은 42~43%, 민주당은 44~45% 수준을 내세우며, 접점을 찾지 못한 겁니다.
민주당은 저출산 고령화 위기 극복을 위해 연금 개혁이 시급하다며 이번 국회에서 야당 안 단독 처리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인구,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액을 조정하는 자동조정 장치 도입에 대해서도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 "연금 관계에 직접적 이해를 가지고 있는 노동계를 비롯한 시민사회가 자동 조정 장치를 도입하는 데 대해서 대단히 신중해야 된다라고 하는, 반대 의견을 당에 전달해 왔고…."]
국민의힘은 자동조정 장치 도입 시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면서도, 민주당 주장대로 노후에 받는 돈을 높이겠다는 건 미래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윤희숙/여의도연구원장 : "청년들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다시 (소득대체율을) 44로 거꾸로 4%나 올리는 안을 왜 그렇게 하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까?"]
이런가운데 국민의힘은 오늘 청년 세대들의 연금 개혁에 대한 고민을 경청하는 간담회를 엽니다.
KBS 뉴스 이윤우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박장빈/영상편집:김선영
국정협의회 이후 여야와 정부가 연금 개혁 첫 실무협의에 나섰지만 소득대체율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민주당은 2월 국회에서 야당 안으로 단독 처리 가능성을 시사했고, 국민의힘은 민주당 주장은 미래세대에 빚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윤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협의회 후속 조치를 위해 여·야·정 실무회의가 열렸습니다.
연금 개혁안 논의를 이어갔지만,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내는 돈인 보험료율을 현재 9%에서 13%로 인상하는 데엔 공감대를 이뤘지만,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에서 국민의힘은 42~43%, 민주당은 44~45% 수준을 내세우며, 접점을 찾지 못한 겁니다.
민주당은 저출산 고령화 위기 극복을 위해 연금 개혁이 시급하다며 이번 국회에서 야당 안 단독 처리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인구,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액을 조정하는 자동조정 장치 도입에 대해서도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 "연금 관계에 직접적 이해를 가지고 있는 노동계를 비롯한 시민사회가 자동 조정 장치를 도입하는 데 대해서 대단히 신중해야 된다라고 하는, 반대 의견을 당에 전달해 왔고…."]
국민의힘은 자동조정 장치 도입 시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면서도, 민주당 주장대로 노후에 받는 돈을 높이겠다는 건 미래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윤희숙/여의도연구원장 : "청년들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다시 (소득대체율을) 44로 거꾸로 4%나 올리는 안을 왜 그렇게 하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까?"]
이런가운데 국민의힘은 오늘 청년 세대들의 연금 개혁에 대한 고민을 경청하는 간담회를 엽니다.
KBS 뉴스 이윤우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박장빈/영상편집:김선영
-
-
이윤우 기자 yw@kbs.co.kr
이윤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