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김용현 협조 거부에 구치소 현장조사 무산…야당 “고발 조치”
입력 2025.02.05 (16:32)
수정 2025.02.05 (18: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2/05/20250205_IYafLc.jpg)
국회 내란 혐의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윤석열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수감된 서울 동부구치소를 찾아 현장 조사를 시도했지만 무산됐습니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오늘(5일) 오전 서울 동부구치소와 오후 서울구치소를 각각 찾았지만, 윤 대통령 등 증인들은 현장조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의 불출석으로 구치소 현장 조사가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해 야당 특위 위원들은 규탄했습니다.
안규백 국조특위 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구치소에 대기하며 오랜 시간 기다렸고, 교도관을 통해 의사를 타진하면서 증인들에게 현장 조사 협조를 요구했는데 이들은 끝까지 거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국정조사에 불출석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명백한 진상규명 방해 행위"라며 "최소한의 양심과 책임감도 내팽개친 윤석열과 그 추종 세력에게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 김용현은 공직자로서, 내란 주동자로서 국민 앞에 증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야당 국조특위 위원들은 "이들은 국민의 대의기관은 국회를 무시하면서도, 헌법재판소에는 꼬박꼬박 출석해 궤변에 궤변을 이어가고 있다"며 "부정선거 음모론을 앞세워 여론몰이에만 골몰하는 그런 모습을 보면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역사의 죄인으로 기록돼 오랜 시간 후대의 철저한 비난을 받을 거로 저는 믿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내일(6일) 3차 청문회가 예정돼 있다"며 "지금이라도 청문회에 출석해 국민 앞에 서길 호소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구치소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군 전 정보사 대령 등이 수감돼 있는데, 이들 모두 국조특위의 현장 조사를 거부했고, 서울 동부구치소에 수감돼 있던 김용현 전 장관 역시 현장 조사를 거부했습니다.
국조특위는 오늘 마지막 일정으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수감 중인 수방사 미결수용소를 방문했지만, 여 전 사령관 역시 출석을 거부해 조사가 무산됐습니다.
안규백 위원장 등은 오늘 현장 조사에 불참한 국민의힘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을 향해서는 "특위 출범부터 지금까지 시종일관 의사진행에 훼방 놓으며 동료 의원에 막말만 일삼았다"며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야당 위원들의 비판에 국민의힘 국조특위 위원들은 "현장 청문회에 증인들이 나오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강행한 것은 정치적인 이용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헌재 출석과 검찰 수사를 받는 증인들이 자기 방어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 야당 "윤 대통령 등 고발 조치…국조 기간 연장 검토"
오늘 구치소 현장 방문 이후 기자들과 만난 야당 국조특위 간사인 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국정조사에 임하는 태도가 불량해도 너무 불량한 사람들"이라며 "고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망신 주기'라는 여당 비판이 있다'는 지적에 한 의원은 "피고인 윤석열이나 주요 임무 종사자들이 국정조사를 아예 보이콧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당사자들이 자꾸 싸우려고 하고,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정조사에 임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조사를) 연기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국정조사 기간 연장 검토를 시사했습니다.
한 의원은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국정조사) 기간 연장이 필요 없다'고 말한 것을 두고서는 "(국민의힘은) 국정조사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인지, 방해하려고 오는 사람들인지 (모르겠다)"며 "국정조사와 관련된 걸 말하지도 않고 오히려 부정선거를 국정조사 과정에서 얘기한다든지 하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국정조사에 관심이 없던 거 같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건강 상태와 관련해서는 "특이 사항이 없다고 얘기를 들었다"며 "독거동에서 1시간 정도 운동을 할 수가 있어, 운동도 적당히 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 출석할 때 화장에서부터 헤어스타일까지 준비하고 나오는 것"이라며 "구치소에서 이뤄지는 건 아니고 아마 헌법재판소와의 협조 아래에 밖에 나가서 이뤄지는 거 같다"고도 말했습니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오늘(5일) 오전 서울 동부구치소와 오후 서울구치소를 각각 찾았지만, 윤 대통령 등 증인들은 현장조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의 불출석으로 구치소 현장 조사가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해 야당 특위 위원들은 규탄했습니다.
안규백 국조특위 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구치소에 대기하며 오랜 시간 기다렸고, 교도관을 통해 의사를 타진하면서 증인들에게 현장 조사 협조를 요구했는데 이들은 끝까지 거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국정조사에 불출석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명백한 진상규명 방해 행위"라며 "최소한의 양심과 책임감도 내팽개친 윤석열과 그 추종 세력에게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 김용현은 공직자로서, 내란 주동자로서 국민 앞에 증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야당 국조특위 위원들은 "이들은 국민의 대의기관은 국회를 무시하면서도, 헌법재판소에는 꼬박꼬박 출석해 궤변에 궤변을 이어가고 있다"며 "부정선거 음모론을 앞세워 여론몰이에만 골몰하는 그런 모습을 보면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역사의 죄인으로 기록돼 오랜 시간 후대의 철저한 비난을 받을 거로 저는 믿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내일(6일) 3차 청문회가 예정돼 있다"며 "지금이라도 청문회에 출석해 국민 앞에 서길 호소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구치소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군 전 정보사 대령 등이 수감돼 있는데, 이들 모두 국조특위의 현장 조사를 거부했고, 서울 동부구치소에 수감돼 있던 김용현 전 장관 역시 현장 조사를 거부했습니다.
국조특위는 오늘 마지막 일정으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수감 중인 수방사 미결수용소를 방문했지만, 여 전 사령관 역시 출석을 거부해 조사가 무산됐습니다.
안규백 위원장 등은 오늘 현장 조사에 불참한 국민의힘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을 향해서는 "특위 출범부터 지금까지 시종일관 의사진행에 훼방 놓으며 동료 의원에 막말만 일삼았다"며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야당 위원들의 비판에 국민의힘 국조특위 위원들은 "현장 청문회에 증인들이 나오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강행한 것은 정치적인 이용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헌재 출석과 검찰 수사를 받는 증인들이 자기 방어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 야당 "윤 대통령 등 고발 조치…국조 기간 연장 검토"
오늘 구치소 현장 방문 이후 기자들과 만난 야당 국조특위 간사인 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국정조사에 임하는 태도가 불량해도 너무 불량한 사람들"이라며 "고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망신 주기'라는 여당 비판이 있다'는 지적에 한 의원은 "피고인 윤석열이나 주요 임무 종사자들이 국정조사를 아예 보이콧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당사자들이 자꾸 싸우려고 하고,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정조사에 임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조사를) 연기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국정조사 기간 연장 검토를 시사했습니다.
한 의원은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국정조사) 기간 연장이 필요 없다'고 말한 것을 두고서는 "(국민의힘은) 국정조사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인지, 방해하려고 오는 사람들인지 (모르겠다)"며 "국정조사와 관련된 걸 말하지도 않고 오히려 부정선거를 국정조사 과정에서 얘기한다든지 하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국정조사에 관심이 없던 거 같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건강 상태와 관련해서는 "특이 사항이 없다고 얘기를 들었다"며 "독거동에서 1시간 정도 운동을 할 수가 있어, 운동도 적당히 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 출석할 때 화장에서부터 헤어스타일까지 준비하고 나오는 것"이라며 "구치소에서 이뤄지는 건 아니고 아마 헌법재판소와의 협조 아래에 밖에 나가서 이뤄지는 거 같다"고도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대통령·김용현 협조 거부에 구치소 현장조사 무산…야당 “고발 조치”
-
- 입력 2025-02-05 16:32:16
- 수정2025-02-05 18:26:35
![](/data/news/2025/02/05/20250205_IYafLc.jpg)
국회 내란 혐의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윤석열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수감된 서울 동부구치소를 찾아 현장 조사를 시도했지만 무산됐습니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오늘(5일) 오전 서울 동부구치소와 오후 서울구치소를 각각 찾았지만, 윤 대통령 등 증인들은 현장조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의 불출석으로 구치소 현장 조사가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해 야당 특위 위원들은 규탄했습니다.
안규백 국조특위 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구치소에 대기하며 오랜 시간 기다렸고, 교도관을 통해 의사를 타진하면서 증인들에게 현장 조사 협조를 요구했는데 이들은 끝까지 거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국정조사에 불출석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명백한 진상규명 방해 행위"라며 "최소한의 양심과 책임감도 내팽개친 윤석열과 그 추종 세력에게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 김용현은 공직자로서, 내란 주동자로서 국민 앞에 증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야당 국조특위 위원들은 "이들은 국민의 대의기관은 국회를 무시하면서도, 헌법재판소에는 꼬박꼬박 출석해 궤변에 궤변을 이어가고 있다"며 "부정선거 음모론을 앞세워 여론몰이에만 골몰하는 그런 모습을 보면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역사의 죄인으로 기록돼 오랜 시간 후대의 철저한 비난을 받을 거로 저는 믿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내일(6일) 3차 청문회가 예정돼 있다"며 "지금이라도 청문회에 출석해 국민 앞에 서길 호소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구치소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군 전 정보사 대령 등이 수감돼 있는데, 이들 모두 국조특위의 현장 조사를 거부했고, 서울 동부구치소에 수감돼 있던 김용현 전 장관 역시 현장 조사를 거부했습니다.
국조특위는 오늘 마지막 일정으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수감 중인 수방사 미결수용소를 방문했지만, 여 전 사령관 역시 출석을 거부해 조사가 무산됐습니다.
안규백 위원장 등은 오늘 현장 조사에 불참한 국민의힘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을 향해서는 "특위 출범부터 지금까지 시종일관 의사진행에 훼방 놓으며 동료 의원에 막말만 일삼았다"며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야당 위원들의 비판에 국민의힘 국조특위 위원들은 "현장 청문회에 증인들이 나오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강행한 것은 정치적인 이용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헌재 출석과 검찰 수사를 받는 증인들이 자기 방어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 야당 "윤 대통령 등 고발 조치…국조 기간 연장 검토"
오늘 구치소 현장 방문 이후 기자들과 만난 야당 국조특위 간사인 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국정조사에 임하는 태도가 불량해도 너무 불량한 사람들"이라며 "고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망신 주기'라는 여당 비판이 있다'는 지적에 한 의원은 "피고인 윤석열이나 주요 임무 종사자들이 국정조사를 아예 보이콧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당사자들이 자꾸 싸우려고 하고,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정조사에 임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조사를) 연기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국정조사 기간 연장 검토를 시사했습니다.
한 의원은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국정조사) 기간 연장이 필요 없다'고 말한 것을 두고서는 "(국민의힘은) 국정조사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인지, 방해하려고 오는 사람들인지 (모르겠다)"며 "국정조사와 관련된 걸 말하지도 않고 오히려 부정선거를 국정조사 과정에서 얘기한다든지 하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국정조사에 관심이 없던 거 같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건강 상태와 관련해서는 "특이 사항이 없다고 얘기를 들었다"며 "독거동에서 1시간 정도 운동을 할 수가 있어, 운동도 적당히 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 출석할 때 화장에서부터 헤어스타일까지 준비하고 나오는 것"이라며 "구치소에서 이뤄지는 건 아니고 아마 헌법재판소와의 협조 아래에 밖에 나가서 이뤄지는 거 같다"고도 말했습니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오늘(5일) 오전 서울 동부구치소와 오후 서울구치소를 각각 찾았지만, 윤 대통령 등 증인들은 현장조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의 불출석으로 구치소 현장 조사가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해 야당 특위 위원들은 규탄했습니다.
안규백 국조특위 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구치소에 대기하며 오랜 시간 기다렸고, 교도관을 통해 의사를 타진하면서 증인들에게 현장 조사 협조를 요구했는데 이들은 끝까지 거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국정조사에 불출석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명백한 진상규명 방해 행위"라며 "최소한의 양심과 책임감도 내팽개친 윤석열과 그 추종 세력에게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 김용현은 공직자로서, 내란 주동자로서 국민 앞에 증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야당 국조특위 위원들은 "이들은 국민의 대의기관은 국회를 무시하면서도, 헌법재판소에는 꼬박꼬박 출석해 궤변에 궤변을 이어가고 있다"며 "부정선거 음모론을 앞세워 여론몰이에만 골몰하는 그런 모습을 보면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역사의 죄인으로 기록돼 오랜 시간 후대의 철저한 비난을 받을 거로 저는 믿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내일(6일) 3차 청문회가 예정돼 있다"며 "지금이라도 청문회에 출석해 국민 앞에 서길 호소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구치소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군 전 정보사 대령 등이 수감돼 있는데, 이들 모두 국조특위의 현장 조사를 거부했고, 서울 동부구치소에 수감돼 있던 김용현 전 장관 역시 현장 조사를 거부했습니다.
국조특위는 오늘 마지막 일정으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수감 중인 수방사 미결수용소를 방문했지만, 여 전 사령관 역시 출석을 거부해 조사가 무산됐습니다.
안규백 위원장 등은 오늘 현장 조사에 불참한 국민의힘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을 향해서는 "특위 출범부터 지금까지 시종일관 의사진행에 훼방 놓으며 동료 의원에 막말만 일삼았다"며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야당 위원들의 비판에 국민의힘 국조특위 위원들은 "현장 청문회에 증인들이 나오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강행한 것은 정치적인 이용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헌재 출석과 검찰 수사를 받는 증인들이 자기 방어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 야당 "윤 대통령 등 고발 조치…국조 기간 연장 검토"
오늘 구치소 현장 방문 이후 기자들과 만난 야당 국조특위 간사인 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국정조사에 임하는 태도가 불량해도 너무 불량한 사람들"이라며 "고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망신 주기'라는 여당 비판이 있다'는 지적에 한 의원은 "피고인 윤석열이나 주요 임무 종사자들이 국정조사를 아예 보이콧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당사자들이 자꾸 싸우려고 하고,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정조사에 임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조사를) 연기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국정조사 기간 연장 검토를 시사했습니다.
한 의원은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국정조사) 기간 연장이 필요 없다'고 말한 것을 두고서는 "(국민의힘은) 국정조사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인지, 방해하려고 오는 사람들인지 (모르겠다)"며 "국정조사와 관련된 걸 말하지도 않고 오히려 부정선거를 국정조사 과정에서 얘기한다든지 하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국정조사에 관심이 없던 거 같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건강 상태와 관련해서는 "특이 사항이 없다고 얘기를 들었다"며 "독거동에서 1시간 정도 운동을 할 수가 있어, 운동도 적당히 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 출석할 때 화장에서부터 헤어스타일까지 준비하고 나오는 것"이라며 "구치소에서 이뤄지는 건 아니고 아마 헌법재판소와의 협조 아래에 밖에 나가서 이뤄지는 거 같다"고도 말했습니다.
-
-
방준원 기자 pcbang@kbs.co.kr
방준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