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 관제량 다른 공항 대비 2~3배…2017년 야간운항 제한도 무산

입력 2025.01.05 (11:05) 수정 2025.01.05 (11: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항공 참사로 항공관제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된 가운데, 무안국제공항의 관제량이 다른 중소공항 대비 2~3배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2017년 부산지방항공청이 관제사의 피로 누적에 따른 안전사고를 우려해 무안 공항에 '야간운항 제한 조치'(curfew)를 취하려 했지만, 무산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늘(5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2023년 무안 공항 관제탑의 관제량은 4만 538대로 하루 평균 111대에 대한 관제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양양 관제탑(1만 9,078대·하루 52대), 여수 관제탑(1만 4,710대·하루 40대), 울산 관제탑(1만 2,820대·하루 35대)보다 훨씬 많은 관제 대수입니다.

울산 관제탑과 비교하면 연간이나 월평균 기준 모두 3배가 많습니다.

반면, 근무하는 관제사 수는 다른 공항과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무안 관제탑은 관제사 7명이 2~3명씩 교대로 일했는데 양양 관제탑의 관제사 수도 7명이었습니다. 여수와 울산 관제탑의 관제사 수는 각 4명이었습니다.

설립 직후인 2008년 연간 6,295대(하루 18대)에 불과했던 무안 관제탑 관제량은 이후 4,000~7,000대 수준을 유지하다 2014년 하반기 제주공항 활주로 공사로 무안 공항이 교체 공항으로 지정받으면서 관제량이 2만 5,310대(하루 69.3대)로 늘었습니다.

이후 교체 공항 유지에 비행 항공 훈련기 관제까지 더해지면서 무안 관제탑 관제량은 2015년(4만 9,401대·하루 135대), 2016년 6만 6,413대(하루 181대), 2017년 6만 3,855대(175대)로 급증했습니다.

관제량이 크게 늘자, 부산지방항공청은 2017년 관제 인력 부족과 피로 누적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를 이유로 2018년부터 오후 9시~다음 날 오전 7시 사이 무안 공항 야간운항을 제한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전남도 등 지역사회 반발로 결국 백지화됐습니다. 24시간 운항체제가 유지되지 않으면 부정기 국제노선 유지나 확충이 어려워 공항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였습니다.

국토부도 "무안 공항 교통량 증가에 따라 관제 인력을 추가 충원, 24시간 운항에 문제가 없도록 조치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당시 6명이었던 관제사 수는 현재 7명으로 1명 느는 데 그쳤습니다.

항공교통관제사 피로 관리 국제기준에 따르면 관제사의 근무 시간은 12시간(야간 10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관제 업무시간은 휴식 시간 없이 2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관제사는 항공기 이착륙을 통제하는 비행장 관제 업무에 더해 상승 후 안전고도까지 유도하는 접근관제 업무, 항로에 있는 항공기들과 교신하며 통제하는 지역 관제 업무를 모두 맡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안공항 관제량 다른 공항 대비 2~3배…2017년 야간운항 제한도 무산
    • 입력 2025-01-05 11:05:40
    • 수정2025-01-05 11:18:49
    경제
제주항공 참사로 항공관제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된 가운데, 무안국제공항의 관제량이 다른 중소공항 대비 2~3배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2017년 부산지방항공청이 관제사의 피로 누적에 따른 안전사고를 우려해 무안 공항에 '야간운항 제한 조치'(curfew)를 취하려 했지만, 무산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늘(5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2023년 무안 공항 관제탑의 관제량은 4만 538대로 하루 평균 111대에 대한 관제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양양 관제탑(1만 9,078대·하루 52대), 여수 관제탑(1만 4,710대·하루 40대), 울산 관제탑(1만 2,820대·하루 35대)보다 훨씬 많은 관제 대수입니다.

울산 관제탑과 비교하면 연간이나 월평균 기준 모두 3배가 많습니다.

반면, 근무하는 관제사 수는 다른 공항과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무안 관제탑은 관제사 7명이 2~3명씩 교대로 일했는데 양양 관제탑의 관제사 수도 7명이었습니다. 여수와 울산 관제탑의 관제사 수는 각 4명이었습니다.

설립 직후인 2008년 연간 6,295대(하루 18대)에 불과했던 무안 관제탑 관제량은 이후 4,000~7,000대 수준을 유지하다 2014년 하반기 제주공항 활주로 공사로 무안 공항이 교체 공항으로 지정받으면서 관제량이 2만 5,310대(하루 69.3대)로 늘었습니다.

이후 교체 공항 유지에 비행 항공 훈련기 관제까지 더해지면서 무안 관제탑 관제량은 2015년(4만 9,401대·하루 135대), 2016년 6만 6,413대(하루 181대), 2017년 6만 3,855대(175대)로 급증했습니다.

관제량이 크게 늘자, 부산지방항공청은 2017년 관제 인력 부족과 피로 누적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를 이유로 2018년부터 오후 9시~다음 날 오전 7시 사이 무안 공항 야간운항을 제한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전남도 등 지역사회 반발로 결국 백지화됐습니다. 24시간 운항체제가 유지되지 않으면 부정기 국제노선 유지나 확충이 어려워 공항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였습니다.

국토부도 "무안 공항 교통량 증가에 따라 관제 인력을 추가 충원, 24시간 운항에 문제가 없도록 조치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당시 6명이었던 관제사 수는 현재 7명으로 1명 느는 데 그쳤습니다.

항공교통관제사 피로 관리 국제기준에 따르면 관제사의 근무 시간은 12시간(야간 10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관제 업무시간은 휴식 시간 없이 2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관제사는 항공기 이착륙을 통제하는 비행장 관제 업무에 더해 상승 후 안전고도까지 유도하는 접근관제 업무, 항로에 있는 항공기들과 교신하며 통제하는 지역 관제 업무를 모두 맡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