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 노인 시대…지하철로 본 고령 사회 [인구소멸]⑤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소멸①] 올림픽 메달 '명맥 끊기나?'…학령 인구 급감
[인구소멸②] 폐과에서 폐교로…'벚꽃 엔딩' 현실로
[인구소멸③] 신교대도 군부대도 해체…"나라 지킬 사람 없어요"
[인구소멸④] 인구 마지노선 2만명…"50년 안에 78곳 붕괴"
[인구소멸⑤] 1,000만 노인 시대…지하철로 본 고령 사회
우리나라 지하철에 '노약자석'이 처음 도입된 건 1980년부터다.
서울 지하철 전동차 양쪽 끝 3칸을 65살 이상 노인을 위한 좌석으로 정했다.
경로 우대를 중시하던 당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 조치였다.
이후 2005년 교통약자법이 시행되면서 '노약자석'은 '교통약자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노인뿐만 아니라 임산부와 장애인, 아동까지 폭넓게 배려하는 좌석으로 확대됐다.
전동차 한 칸당 12석. 전체 좌석의 22%로 이때만 해도 모두를 수용하기에 넉넉한 수준이었다.
■ 빨라지는 고령화…"지하철 자리·무임승차 제도 과제로"
하지만 세월이 흘러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현재 서울과 부산, 대구와 광주 등 지하철이 있는 전국 6개 특·광역시는 모두 65살 이상 노인 인구가 14%를 넘는 고령 사회다.
KBS와 국토연구원이 미래 고령화율(65살 이상 인구비율)을 분석했더니, 이들 지역 모두 5년 안에 고령화율이 20%를 넘기고, 15년 안에 30%를 넘길 것으로 전망됐다.
한정된 교통약자석에 늘어나는 노인 인구, 잊을 만하면 들려오는 지하철 자리다툼 소식은 이러한 불균형 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김화정 / 서울교통공사 영업지원처 과장 "지하철 교통약자석을 둘러싸고 자리다툼이나 잘못된 이용에 대한 관련 민원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 역시 마찬가지다. 노인 인구가 4%도 되지 않던 1984년에 도입됐는데 40년째 그대로다.
지하철 무임승차는 사회적 편익이 큰 대표적인 교통 복지지만, 고령화에 따른 부담을 도외시할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온다.
지난달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1,000만명으로, 이미 전체 인구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 “2047년 노인인구 1,630만명”…노동 절벽·연금 고갈 우려
한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그 어느 때보다 매우 빠르다.
700만명이 넘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는 계속해서 노인 인구로 편입되고 있다.
이대로라면 내년에는 국민 5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35년에는 노인 인구가 30%를 넘어선다.
급기야 2047년에는 사상 최대 규모인 1,630만명을 기록하며, 국민 10명 가운데 4명이 노인이 될 전망이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 지하철을 넘어 사회 곳곳에서 노동력 부족, 연금 고갈, 건강보험 불안정성 등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상림 /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지난해 58년 개띠가 65살 노인이 되기 시작했어요. 대단히 큰 규모 인구가 노인이 되는 겁니다." "우리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의 일들이 많이 생길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양한 갈등이 벌어질 수도, 다양한 전환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공포심 조장이 아니라 그만큼 시간이 없다는 겁니다." |
■ 공익 광고 상상이 현실로?…"미래 준비해야"
"이런 모습, 상상은 해보셨나요?"
20년 전 만들어진 한 공익 광고다. 지하철 전동차에서 일반석과 경로석이 뒤바뀌어 있다.
'OECD 회원국 중 최저 출산율 기록',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른 나라'라는 문구도 곁들였다.
우리나라 저출생·고령화의 심각성을 20년 전에 이미 경고한 거다.
천만 노인 시대를 맞은 현재, 어쩌면 이런 풍경은 상상에만 그치지 않을 수 있다. 초고령사회라는 예고된 미래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KBS는 국토연구원과 전국 229개 시군구의 100년 인구 변화를 담은 인터랙티브 뉴스 페이지를 개설해 공개합니다. ☞인터랙티브 뉴스 페이지: https://news.kbs.co.kr/special/post072/index.html ☞본 기획물은 경상남도 지역방송 발전지원 사업의 제작 지원을 받았습니다. |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00만 노인 시대…지하철로 본 고령 사회 [인구소멸]⑤
-
- 입력 2024-09-07 07:00:38
- 수정2024-09-07 15:09:53
우리나라 지하철에 '노약자석'이 처음 도입된 건 1980년부터다.
서울 지하철 전동차 양쪽 끝 3칸을 65살 이상 노인을 위한 좌석으로 정했다.
경로 우대를 중시하던 당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 조치였다.
이후 2005년 교통약자법이 시행되면서 '노약자석'은 '교통약자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노인뿐만 아니라 임산부와 장애인, 아동까지 폭넓게 배려하는 좌석으로 확대됐다.
전동차 한 칸당 12석. 전체 좌석의 22%로 이때만 해도 모두를 수용하기에 넉넉한 수준이었다.
■ 빨라지는 고령화…"지하철 자리·무임승차 제도 과제로"
하지만 세월이 흘러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현재 서울과 부산, 대구와 광주 등 지하철이 있는 전국 6개 특·광역시는 모두 65살 이상 노인 인구가 14%를 넘는 고령 사회다.
KBS와 국토연구원이 미래 고령화율(65살 이상 인구비율)을 분석했더니, 이들 지역 모두 5년 안에 고령화율이 20%를 넘기고, 15년 안에 30%를 넘길 것으로 전망됐다.
한정된 교통약자석에 늘어나는 노인 인구, 잊을 만하면 들려오는 지하철 자리다툼 소식은 이러한 불균형 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김화정 / 서울교통공사 영업지원처 과장 "지하철 교통약자석을 둘러싸고 자리다툼이나 잘못된 이용에 대한 관련 민원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 역시 마찬가지다. 노인 인구가 4%도 되지 않던 1984년에 도입됐는데 40년째 그대로다.
지하철 무임승차는 사회적 편익이 큰 대표적인 교통 복지지만, 고령화에 따른 부담을 도외시할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온다.
지난달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1,000만명으로, 이미 전체 인구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 “2047년 노인인구 1,630만명”…노동 절벽·연금 고갈 우려
한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그 어느 때보다 매우 빠르다.
700만명이 넘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는 계속해서 노인 인구로 편입되고 있다.
이대로라면 내년에는 국민 5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35년에는 노인 인구가 30%를 넘어선다.
급기야 2047년에는 사상 최대 규모인 1,630만명을 기록하며, 국민 10명 가운데 4명이 노인이 될 전망이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 지하철을 넘어 사회 곳곳에서 노동력 부족, 연금 고갈, 건강보험 불안정성 등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상림 /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지난해 58년 개띠가 65살 노인이 되기 시작했어요. 대단히 큰 규모 인구가 노인이 되는 겁니다." "우리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의 일들이 많이 생길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양한 갈등이 벌어질 수도, 다양한 전환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공포심 조장이 아니라 그만큼 시간이 없다는 겁니다." |
■ 공익 광고 상상이 현실로?…"미래 준비해야"
"이런 모습, 상상은 해보셨나요?"
20년 전 만들어진 한 공익 광고다. 지하철 전동차에서 일반석과 경로석이 뒤바뀌어 있다.
'OECD 회원국 중 최저 출산율 기록',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른 나라'라는 문구도 곁들였다.
우리나라 저출생·고령화의 심각성을 20년 전에 이미 경고한 거다.
천만 노인 시대를 맞은 현재, 어쩌면 이런 풍경은 상상에만 그치지 않을 수 있다. 초고령사회라는 예고된 미래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KBS는 국토연구원과 전국 229개 시군구의 100년 인구 변화를 담은 인터랙티브 뉴스 페이지를 개설해 공개합니다. ☞인터랙티브 뉴스 페이지: https://news.kbs.co.kr/special/post072/index.html ☞본 기획물은 경상남도 지역방송 발전지원 사업의 제작 지원을 받았습니다. |
-
-
이형관 기자 parole@kbs.co.kr
이형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우리 아이, 우리 미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