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 도입 10년…“효율적인 선거 관리 필요” [정치개혁 K 2024]

입력 2024.06.23 (21:11) 수정 2024.06.23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치개혁K, 오늘(23일)의 주제는 사전투표젭니다.

시행한 지 10년이 됐습니다.

분명 장단점이 있단 평갑니다.

유권자들은 투표하기가 많이 편해진 게 사실입니다.

반면 개선할 부분도 적지 않단 지적입니다.

문예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1,385만 명, 22대 총선에서 사전투표한 유권자 숫자입니다.

[남정연/경기 남양주시/지난 총선 사전투표일 : "시간이 없어서, 본투표 날에는 출근해야 돼서 지금 하게 됐습니다."]

투표율 하락 대책으로 사전투표제가 전면 도입된지 10년째.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고 투표 기간도 늘어나 유권자들의 선거 관심도를 크게 높였습니다.

반면, 사전투표와 본투표 사이 발생한 선거 이슈들을 투표에 반영하지 못하는 오류도 생겼습니다.

[서휘원/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치입법팀장 : "일찍 투표함으로 인해 겪는 정보 불완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보자 정보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도록(해야 합니다). "]

사전투표 때마다 끊이지않는 투표 조작, 해킹 의혹도 문제입니다.

투표함의 철저한 관리와 선거인명부 전산오류 방지 등으로 불필요한 논란을 줄이고 사전투표와 본투표일을 붙여 보관 기간을 줄이는 방안 등이 논의됩니다.

[김영배/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그동안 논란이 돼 왔던 게 투표함과 개표함 관리가 부실하지 않느냐 이런 문제가 있었습니다."]

[김민전/국민의힘 의원 : "투표장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는지 보겠다라고 해서 막 CCTV를 갖다 심고 불안정성에 대한 두려움이 이런 것들을 야기한 것이 아닌가…."]

사전투표에 투입되는 수백억 원의 예산과 10만 명 이상의 인력, 과중한 선거 업무 등에도 해법이 필요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전문가 공청회에서 제기된 방안을 토대로 사전투표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일 제도 개선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전투표 도입 10년…“효율적인 선거 관리 필요” [정치개혁 K 2024]
    • 입력 2024-06-23 21:11:04
    • 수정2024-06-23 21:59:31
    뉴스 9
[앵커]

정치개혁K, 오늘(23일)의 주제는 사전투표젭니다.

시행한 지 10년이 됐습니다.

분명 장단점이 있단 평갑니다.

유권자들은 투표하기가 많이 편해진 게 사실입니다.

반면 개선할 부분도 적지 않단 지적입니다.

문예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1,385만 명, 22대 총선에서 사전투표한 유권자 숫자입니다.

[남정연/경기 남양주시/지난 총선 사전투표일 : "시간이 없어서, 본투표 날에는 출근해야 돼서 지금 하게 됐습니다."]

투표율 하락 대책으로 사전투표제가 전면 도입된지 10년째.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고 투표 기간도 늘어나 유권자들의 선거 관심도를 크게 높였습니다.

반면, 사전투표와 본투표 사이 발생한 선거 이슈들을 투표에 반영하지 못하는 오류도 생겼습니다.

[서휘원/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치입법팀장 : "일찍 투표함으로 인해 겪는 정보 불완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보자 정보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도록(해야 합니다). "]

사전투표 때마다 끊이지않는 투표 조작, 해킹 의혹도 문제입니다.

투표함의 철저한 관리와 선거인명부 전산오류 방지 등으로 불필요한 논란을 줄이고 사전투표와 본투표일을 붙여 보관 기간을 줄이는 방안 등이 논의됩니다.

[김영배/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그동안 논란이 돼 왔던 게 투표함과 개표함 관리가 부실하지 않느냐 이런 문제가 있었습니다."]

[김민전/국민의힘 의원 : "투표장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는지 보겠다라고 해서 막 CCTV를 갖다 심고 불안정성에 대한 두려움이 이런 것들을 야기한 것이 아닌가…."]

사전투표에 투입되는 수백억 원의 예산과 10만 명 이상의 인력, 과중한 선거 업무 등에도 해법이 필요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전문가 공청회에서 제기된 방안을 토대로 사전투표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일 제도 개선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