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한 ‘불편’…전기차 보조금 ‘언 발에 오줌’?
입력 2023.09.25 (19:29)
수정 2023.09.25 (19: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올해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전기차 인기가 예전만 못하기 때문인데요.
보조금을 늘리는 정책만으로 전기차 보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차로 개인 택시를 운영하는 김종인 씨.
영업하려면 한 장소에 머물 수도 없는데 방전을 앞두고 고장 난 충전기를 마주할 때가 가장 난감합니다.
["(저희 쪽에는 저전압 증상으로 확인되고 있고요.) 저전압으로?"]
충전이 좀 수월할까 아파트로 이사까지 했습니다.
[김종인/개인택시 운영 : "한겨울에 시동도 못 켜고 충전될 때까지 1시간 기다렸다가 차 안전하게 대놓고 또 (집으로) 올라가야 되고. 그런 부분들이 너무 스트레스를 받은 거예요."]
전기차의 인기가 예전만 못합니다.
올해 8월까지 전기 승용차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감소했는데, 누적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러자 정부가 찻값 보조금을 추가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제조사가 찻값을 500만 원 깎아주면, 정부는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식입니다.
상한액을 기준으로 최대 600만 원의 추가 효과인데, 관건은 정부가 침체 속에서 제조사의 할인을 충분히 이끌어 내느냐입니다.
다만 이번 조치는 올해까지 한시적이고 인프라 부족에 대한 반감도 여전합니다.
[이호근/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 "지금부터 구매를 원하는 사람들은 전기충전요금, 충전 인프라 편의성, 차량가격 이런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는 고객층만 남았기 때문에 지금의 할인폭이 고객의 구매욕을 급증시킬 요인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국내 전기차는 이제야 50만대를 조금 넘긴 수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라 정부가 공언한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는 420만 대에 이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홍성백/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서수민
정부가 올해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전기차 인기가 예전만 못하기 때문인데요.
보조금을 늘리는 정책만으로 전기차 보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차로 개인 택시를 운영하는 김종인 씨.
영업하려면 한 장소에 머물 수도 없는데 방전을 앞두고 고장 난 충전기를 마주할 때가 가장 난감합니다.
["(저희 쪽에는 저전압 증상으로 확인되고 있고요.) 저전압으로?"]
충전이 좀 수월할까 아파트로 이사까지 했습니다.
[김종인/개인택시 운영 : "한겨울에 시동도 못 켜고 충전될 때까지 1시간 기다렸다가 차 안전하게 대놓고 또 (집으로) 올라가야 되고. 그런 부분들이 너무 스트레스를 받은 거예요."]
전기차의 인기가 예전만 못합니다.
올해 8월까지 전기 승용차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감소했는데, 누적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러자 정부가 찻값 보조금을 추가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제조사가 찻값을 500만 원 깎아주면, 정부는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식입니다.
상한액을 기준으로 최대 600만 원의 추가 효과인데, 관건은 정부가 침체 속에서 제조사의 할인을 충분히 이끌어 내느냐입니다.
다만 이번 조치는 올해까지 한시적이고 인프라 부족에 대한 반감도 여전합니다.
[이호근/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 "지금부터 구매를 원하는 사람들은 전기충전요금, 충전 인프라 편의성, 차량가격 이런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는 고객층만 남았기 때문에 지금의 할인폭이 고객의 구매욕을 급증시킬 요인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국내 전기차는 이제야 50만대를 조금 넘긴 수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라 정부가 공언한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는 420만 대에 이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홍성백/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전한 ‘불편’…전기차 보조금 ‘언 발에 오줌’?
-
- 입력 2023-09-25 19:29:01
- 수정2023-09-25 19:40:53

[앵커]
정부가 올해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전기차 인기가 예전만 못하기 때문인데요.
보조금을 늘리는 정책만으로 전기차 보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차로 개인 택시를 운영하는 김종인 씨.
영업하려면 한 장소에 머물 수도 없는데 방전을 앞두고 고장 난 충전기를 마주할 때가 가장 난감합니다.
["(저희 쪽에는 저전압 증상으로 확인되고 있고요.) 저전압으로?"]
충전이 좀 수월할까 아파트로 이사까지 했습니다.
[김종인/개인택시 운영 : "한겨울에 시동도 못 켜고 충전될 때까지 1시간 기다렸다가 차 안전하게 대놓고 또 (집으로) 올라가야 되고. 그런 부분들이 너무 스트레스를 받은 거예요."]
전기차의 인기가 예전만 못합니다.
올해 8월까지 전기 승용차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감소했는데, 누적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러자 정부가 찻값 보조금을 추가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제조사가 찻값을 500만 원 깎아주면, 정부는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식입니다.
상한액을 기준으로 최대 600만 원의 추가 효과인데, 관건은 정부가 침체 속에서 제조사의 할인을 충분히 이끌어 내느냐입니다.
다만 이번 조치는 올해까지 한시적이고 인프라 부족에 대한 반감도 여전합니다.
[이호근/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 "지금부터 구매를 원하는 사람들은 전기충전요금, 충전 인프라 편의성, 차량가격 이런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는 고객층만 남았기 때문에 지금의 할인폭이 고객의 구매욕을 급증시킬 요인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국내 전기차는 이제야 50만대를 조금 넘긴 수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라 정부가 공언한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는 420만 대에 이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홍성백/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서수민
정부가 올해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전기차 인기가 예전만 못하기 때문인데요.
보조금을 늘리는 정책만으로 전기차 보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차로 개인 택시를 운영하는 김종인 씨.
영업하려면 한 장소에 머물 수도 없는데 방전을 앞두고 고장 난 충전기를 마주할 때가 가장 난감합니다.
["(저희 쪽에는 저전압 증상으로 확인되고 있고요.) 저전압으로?"]
충전이 좀 수월할까 아파트로 이사까지 했습니다.
[김종인/개인택시 운영 : "한겨울에 시동도 못 켜고 충전될 때까지 1시간 기다렸다가 차 안전하게 대놓고 또 (집으로) 올라가야 되고. 그런 부분들이 너무 스트레스를 받은 거예요."]
전기차의 인기가 예전만 못합니다.
올해 8월까지 전기 승용차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감소했는데, 누적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러자 정부가 찻값 보조금을 추가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제조사가 찻값을 500만 원 깎아주면, 정부는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더 지급하는 식입니다.
상한액을 기준으로 최대 600만 원의 추가 효과인데, 관건은 정부가 침체 속에서 제조사의 할인을 충분히 이끌어 내느냐입니다.
다만 이번 조치는 올해까지 한시적이고 인프라 부족에 대한 반감도 여전합니다.
[이호근/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 "지금부터 구매를 원하는 사람들은 전기충전요금, 충전 인프라 편의성, 차량가격 이런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는 고객층만 남았기 때문에 지금의 할인폭이 고객의 구매욕을 급증시킬 요인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국내 전기차는 이제야 50만대를 조금 넘긴 수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라 정부가 공언한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는 420만 대에 이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홍성백/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서수민
-
-
김진호 기자 hit@kbs.co.kr
김진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