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탄소 성적표 공개하라”…‘기후 공시’ 앞두고 갈등
입력 2023.09.21 (12:42)
수정 2023.09.25 (14: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상장 기업이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기후위기 대응 정보도 공개하도록 하는 기후공시.
현재 유럽연합과 미국 등 전 세계에서 기후공시 도입 논의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2025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기업들이 기후공시 시기를 늦춰달라고 요구하면서, 환경단체가 기후공시 도입을 촉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진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람들의 손에 대형 열쇠가 들렸습니다.
열쇠는 기업의 검은 금고를 향합니다.
기업에 투자할 때도 온실가스 배출량 등 기후위기 대응 자료가 중요해지는 만큼 이를 감추지 말고, 의무적으로 공시하라는 환경단체의 주장을 담은 행사입니다.
[양연호/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 "기후 문제는 상당히 중요한 기업의 투자를 하는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이 됐거든요. 그런데 그러한 사항을 사실 사업보고서, 가장 투자자들이 기본으로 봐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어떤 내용도 담겨있지 않습니다."]
우리 정부는 내후년 제도 도입을 목표로 한다지만, 아직 구체적인 기준이나 대상기업이 정해지지 않은 채 기준 발표는 미뤄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기후공시를 늦춰달라고 요구합니다.
[손석호/한국경영자총협회 사회정책팀장 : "여건이 아직은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여건을 조성한 다음에 공시 의무화를 하자는 게 저희 경영계 입장입니다."]
때문에 환경단체는 제도 도입을 촉구하고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기후공시를 의무화 하자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보미/법무법인 원 변호사 : "현행제도 같은 경우는 자율공시고 기업이 거짓으로 공시를 하거나 중요한 내용을 알리지 않았을 경우에 제재가 거의 이뤄지지 않습니다."]
국내 사정과는 상관없이 이미 국제사회는 분주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제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는 지난 6월 기후공시에 대한 국제 표준안을 발표하고 유럽과 미국도 기준을 마련하고 나섰습니다.
기후공시는 피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훈
상장 기업이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기후위기 대응 정보도 공개하도록 하는 기후공시.
현재 유럽연합과 미국 등 전 세계에서 기후공시 도입 논의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2025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기업들이 기후공시 시기를 늦춰달라고 요구하면서, 환경단체가 기후공시 도입을 촉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진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람들의 손에 대형 열쇠가 들렸습니다.
열쇠는 기업의 검은 금고를 향합니다.
기업에 투자할 때도 온실가스 배출량 등 기후위기 대응 자료가 중요해지는 만큼 이를 감추지 말고, 의무적으로 공시하라는 환경단체의 주장을 담은 행사입니다.
[양연호/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 "기후 문제는 상당히 중요한 기업의 투자를 하는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이 됐거든요. 그런데 그러한 사항을 사실 사업보고서, 가장 투자자들이 기본으로 봐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어떤 내용도 담겨있지 않습니다."]
우리 정부는 내후년 제도 도입을 목표로 한다지만, 아직 구체적인 기준이나 대상기업이 정해지지 않은 채 기준 발표는 미뤄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기후공시를 늦춰달라고 요구합니다.
[손석호/한국경영자총협회 사회정책팀장 : "여건이 아직은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여건을 조성한 다음에 공시 의무화를 하자는 게 저희 경영계 입장입니다."]
때문에 환경단체는 제도 도입을 촉구하고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기후공시를 의무화 하자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보미/법무법인 원 변호사 : "현행제도 같은 경우는 자율공시고 기업이 거짓으로 공시를 하거나 중요한 내용을 알리지 않았을 경우에 제재가 거의 이뤄지지 않습니다."]
국내 사정과는 상관없이 이미 국제사회는 분주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제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는 지난 6월 기후공시에 대한 국제 표준안을 발표하고 유럽과 미국도 기준을 마련하고 나섰습니다.
기후공시는 피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탄소 성적표 공개하라”…‘기후 공시’ 앞두고 갈등
-
- 입력 2023-09-21 12:42:31
- 수정2023-09-25 14:22:49

[앵커]
상장 기업이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기후위기 대응 정보도 공개하도록 하는 기후공시.
현재 유럽연합과 미국 등 전 세계에서 기후공시 도입 논의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2025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기업들이 기후공시 시기를 늦춰달라고 요구하면서, 환경단체가 기후공시 도입을 촉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진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람들의 손에 대형 열쇠가 들렸습니다.
열쇠는 기업의 검은 금고를 향합니다.
기업에 투자할 때도 온실가스 배출량 등 기후위기 대응 자료가 중요해지는 만큼 이를 감추지 말고, 의무적으로 공시하라는 환경단체의 주장을 담은 행사입니다.
[양연호/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 "기후 문제는 상당히 중요한 기업의 투자를 하는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이 됐거든요. 그런데 그러한 사항을 사실 사업보고서, 가장 투자자들이 기본으로 봐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어떤 내용도 담겨있지 않습니다."]
우리 정부는 내후년 제도 도입을 목표로 한다지만, 아직 구체적인 기준이나 대상기업이 정해지지 않은 채 기준 발표는 미뤄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기후공시를 늦춰달라고 요구합니다.
[손석호/한국경영자총협회 사회정책팀장 : "여건이 아직은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여건을 조성한 다음에 공시 의무화를 하자는 게 저희 경영계 입장입니다."]
때문에 환경단체는 제도 도입을 촉구하고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기후공시를 의무화 하자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보미/법무법인 원 변호사 : "현행제도 같은 경우는 자율공시고 기업이 거짓으로 공시를 하거나 중요한 내용을 알리지 않았을 경우에 제재가 거의 이뤄지지 않습니다."]
국내 사정과는 상관없이 이미 국제사회는 분주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제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는 지난 6월 기후공시에 대한 국제 표준안을 발표하고 유럽과 미국도 기준을 마련하고 나섰습니다.
기후공시는 피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훈
상장 기업이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기후위기 대응 정보도 공개하도록 하는 기후공시.
현재 유럽연합과 미국 등 전 세계에서 기후공시 도입 논의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2025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기업들이 기후공시 시기를 늦춰달라고 요구하면서, 환경단체가 기후공시 도입을 촉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진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람들의 손에 대형 열쇠가 들렸습니다.
열쇠는 기업의 검은 금고를 향합니다.
기업에 투자할 때도 온실가스 배출량 등 기후위기 대응 자료가 중요해지는 만큼 이를 감추지 말고, 의무적으로 공시하라는 환경단체의 주장을 담은 행사입니다.
[양연호/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 "기후 문제는 상당히 중요한 기업의 투자를 하는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이 됐거든요. 그런데 그러한 사항을 사실 사업보고서, 가장 투자자들이 기본으로 봐야 하는 사업보고서에 어떤 내용도 담겨있지 않습니다."]
우리 정부는 내후년 제도 도입을 목표로 한다지만, 아직 구체적인 기준이나 대상기업이 정해지지 않은 채 기준 발표는 미뤄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기후공시를 늦춰달라고 요구합니다.
[손석호/한국경영자총협회 사회정책팀장 : "여건이 아직은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여건을 조성한 다음에 공시 의무화를 하자는 게 저희 경영계 입장입니다."]
때문에 환경단체는 제도 도입을 촉구하고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기후공시를 의무화 하자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김보미/법무법인 원 변호사 : "현행제도 같은 경우는 자율공시고 기업이 거짓으로 공시를 하거나 중요한 내용을 알리지 않았을 경우에 제재가 거의 이뤄지지 않습니다."]
국내 사정과는 상관없이 이미 국제사회는 분주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제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는 지난 6월 기후공시에 대한 국제 표준안을 발표하고 유럽과 미국도 기준을 마련하고 나섰습니다.
기후공시는 피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지훈
-
-
김진호 기자 hit@kbs.co.kr
김진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