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기울이세요” 매달 한 번, 400번째 시 낭송
입력 2013.11.29 (06:19)
수정 2013.11.29 (07: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시를 읽는 분들 많이 계신지요?
바쁜 세상 속에 시 낭송은 사치스런 일처럼 보이지만, 한 작은 모임에서 매달 한 번씩 400회째 시 낭독회를 열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팡이를 짚은 아흔 여섯 살의 시인이 시를 낭송합니다.
<녹취> 황금찬(시인) : "언제 꺼질지 모르는 작은 촛불을 에워싸고 해마다 가난해 가는 고향 사람들. 낡은 비오롱(바이올린)처럼 바람이 부는 날은 서러운 고향."
가락을 넣어 노래처럼 낭독하기도 합니다.
<녹취> 임보(시인) : "안개 속에 바다는 주저앉아 버리고..."
진지한 표정으로 시인에게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은, '공간 시낭독회' 회원들입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열린 낭독회는 이번 달로 400회째.
34년의 세월동안 줄잡아 1,000명의 시인들이 이 조그만 모임에서 시를 낭송해왔습니다.
한때는 골목에 스피커를 설치할 정도로 입장객이 많았지만, 시가 외면받는 현실처럼 모임은 조금씩 한산해졌습니다.
하지만 결코 중단되지는 않았습니다.
<인터뷰> 박희진(시인) : "만약 시에 대한 사랑이 없다면 이건 34년은 커녕 10년도 지속을 못합니다. 사랑이라는 거는 지속을 뜻하는 거거든요."
노 시인들의 변치않는 시 사랑이 34년째 매달 한 번씩 시 낭독회를 이어오는 힘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요즘 시를 읽는 분들 많이 계신지요?
바쁜 세상 속에 시 낭송은 사치스런 일처럼 보이지만, 한 작은 모임에서 매달 한 번씩 400회째 시 낭독회를 열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팡이를 짚은 아흔 여섯 살의 시인이 시를 낭송합니다.
<녹취> 황금찬(시인) : "언제 꺼질지 모르는 작은 촛불을 에워싸고 해마다 가난해 가는 고향 사람들. 낡은 비오롱(바이올린)처럼 바람이 부는 날은 서러운 고향."
가락을 넣어 노래처럼 낭독하기도 합니다.
<녹취> 임보(시인) : "안개 속에 바다는 주저앉아 버리고..."
진지한 표정으로 시인에게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은, '공간 시낭독회' 회원들입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열린 낭독회는 이번 달로 400회째.
34년의 세월동안 줄잡아 1,000명의 시인들이 이 조그만 모임에서 시를 낭송해왔습니다.
한때는 골목에 스피커를 설치할 정도로 입장객이 많았지만, 시가 외면받는 현실처럼 모임은 조금씩 한산해졌습니다.
하지만 결코 중단되지는 않았습니다.
<인터뷰> 박희진(시인) : "만약 시에 대한 사랑이 없다면 이건 34년은 커녕 10년도 지속을 못합니다. 사랑이라는 거는 지속을 뜻하는 거거든요."
노 시인들의 변치않는 시 사랑이 34년째 매달 한 번씩 시 낭독회를 이어오는 힘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귀 기울이세요” 매달 한 번, 400번째 시 낭송
-
- 입력 2013-11-29 06:22:26
- 수정2013-11-29 07:16:04

<앵커 멘트>
요즘 시를 읽는 분들 많이 계신지요?
바쁜 세상 속에 시 낭송은 사치스런 일처럼 보이지만, 한 작은 모임에서 매달 한 번씩 400회째 시 낭독회를 열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팡이를 짚은 아흔 여섯 살의 시인이 시를 낭송합니다.
<녹취> 황금찬(시인) : "언제 꺼질지 모르는 작은 촛불을 에워싸고 해마다 가난해 가는 고향 사람들. 낡은 비오롱(바이올린)처럼 바람이 부는 날은 서러운 고향."
가락을 넣어 노래처럼 낭독하기도 합니다.
<녹취> 임보(시인) : "안개 속에 바다는 주저앉아 버리고..."
진지한 표정으로 시인에게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은, '공간 시낭독회' 회원들입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열린 낭독회는 이번 달로 400회째.
34년의 세월동안 줄잡아 1,000명의 시인들이 이 조그만 모임에서 시를 낭송해왔습니다.
한때는 골목에 스피커를 설치할 정도로 입장객이 많았지만, 시가 외면받는 현실처럼 모임은 조금씩 한산해졌습니다.
하지만 결코 중단되지는 않았습니다.
<인터뷰> 박희진(시인) : "만약 시에 대한 사랑이 없다면 이건 34년은 커녕 10년도 지속을 못합니다. 사랑이라는 거는 지속을 뜻하는 거거든요."
노 시인들의 변치않는 시 사랑이 34년째 매달 한 번씩 시 낭독회를 이어오는 힘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요즘 시를 읽는 분들 많이 계신지요?
바쁜 세상 속에 시 낭송은 사치스런 일처럼 보이지만, 한 작은 모임에서 매달 한 번씩 400회째 시 낭독회를 열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팡이를 짚은 아흔 여섯 살의 시인이 시를 낭송합니다.
<녹취> 황금찬(시인) : "언제 꺼질지 모르는 작은 촛불을 에워싸고 해마다 가난해 가는 고향 사람들. 낡은 비오롱(바이올린)처럼 바람이 부는 날은 서러운 고향."
가락을 넣어 노래처럼 낭독하기도 합니다.
<녹취> 임보(시인) : "안개 속에 바다는 주저앉아 버리고..."
진지한 표정으로 시인에게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은, '공간 시낭독회' 회원들입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열린 낭독회는 이번 달로 400회째.
34년의 세월동안 줄잡아 1,000명의 시인들이 이 조그만 모임에서 시를 낭송해왔습니다.
한때는 골목에 스피커를 설치할 정도로 입장객이 많았지만, 시가 외면받는 현실처럼 모임은 조금씩 한산해졌습니다.
하지만 결코 중단되지는 않았습니다.
<인터뷰> 박희진(시인) : "만약 시에 대한 사랑이 없다면 이건 34년은 커녕 10년도 지속을 못합니다. 사랑이라는 거는 지속을 뜻하는 거거든요."
노 시인들의 변치않는 시 사랑이 34년째 매달 한 번씩 시 낭독회를 이어오는 힘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