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체험 스트레스 줄인다…치료 효과 확인
입력 2013.08.22 (21:38)
수정 2013.08.23 (0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숲에서 하는 다양한 체험활동이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반으로 줄여줬는데 범기영 기자가 숲의 효과를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숲속에서 느끼는 평화롭고 아늑한 느낌.
의학적 효과가 있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숲 바닥에서 흙을 느끼고 옆사람 손을 잡고 일어나 봅니다.
나뭇가지나 꽃을 놓고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합니다.
이런 숲 체험 전후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 농도와 혈압 등을 분석했습니다.
건강한 성인은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정신과 환자 그룹에서도 우울감이 개선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크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정신과 입원 환자 : "병원 안에 있을 때는 답답한데 밖에 나오면 상쾌하고 좋았습니다. 묘하게 뿌듯하고 상큼함을 느꼈습니다."
숲 체험이 어떻게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줄이는지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다만, 나무가 내놓는 천연 물질과 색감이 안정감을 주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인터뷰> 시영화(국립나주병원) : "환자들이 체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는데요, 숲이라는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효과를 확인한 국립병원은 숲체험을 정신과 정규 치료과정에 도입하기로 하고, 또 폭력청소년 대상의 숲체험 치료 프로그램 개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숲에서 하는 다양한 체험활동이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반으로 줄여줬는데 범기영 기자가 숲의 효과를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숲속에서 느끼는 평화롭고 아늑한 느낌.
의학적 효과가 있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숲 바닥에서 흙을 느끼고 옆사람 손을 잡고 일어나 봅니다.
나뭇가지나 꽃을 놓고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합니다.
이런 숲 체험 전후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 농도와 혈압 등을 분석했습니다.
건강한 성인은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정신과 환자 그룹에서도 우울감이 개선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크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정신과 입원 환자 : "병원 안에 있을 때는 답답한데 밖에 나오면 상쾌하고 좋았습니다. 묘하게 뿌듯하고 상큼함을 느꼈습니다."
숲 체험이 어떻게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줄이는지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다만, 나무가 내놓는 천연 물질과 색감이 안정감을 주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인터뷰> 시영화(국립나주병원) : "환자들이 체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는데요, 숲이라는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효과를 확인한 국립병원은 숲체험을 정신과 정규 치료과정에 도입하기로 하고, 또 폭력청소년 대상의 숲체험 치료 프로그램 개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숲 체험 스트레스 줄인다…치료 효과 확인
-
- 입력 2013-08-22 21:39:36
- 수정2013-08-23 00:14:51

<앵커 멘트>
숲에서 하는 다양한 체험활동이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반으로 줄여줬는데 범기영 기자가 숲의 효과를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숲속에서 느끼는 평화롭고 아늑한 느낌.
의학적 효과가 있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숲 바닥에서 흙을 느끼고 옆사람 손을 잡고 일어나 봅니다.
나뭇가지나 꽃을 놓고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합니다.
이런 숲 체험 전후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 농도와 혈압 등을 분석했습니다.
건강한 성인은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정신과 환자 그룹에서도 우울감이 개선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크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정신과 입원 환자 : "병원 안에 있을 때는 답답한데 밖에 나오면 상쾌하고 좋았습니다. 묘하게 뿌듯하고 상큼함을 느꼈습니다."
숲 체험이 어떻게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줄이는지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다만, 나무가 내놓는 천연 물질과 색감이 안정감을 주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인터뷰> 시영화(국립나주병원) : "환자들이 체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는데요, 숲이라는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효과를 확인한 국립병원은 숲체험을 정신과 정규 치료과정에 도입하기로 하고, 또 폭력청소년 대상의 숲체험 치료 프로그램 개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숲에서 하는 다양한 체험활동이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반으로 줄여줬는데 범기영 기자가 숲의 효과를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숲속에서 느끼는 평화롭고 아늑한 느낌.
의학적 효과가 있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숲 바닥에서 흙을 느끼고 옆사람 손을 잡고 일어나 봅니다.
나뭇가지나 꽃을 놓고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합니다.
이런 숲 체험 전후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 농도와 혈압 등을 분석했습니다.
건강한 성인은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정신과 환자 그룹에서도 우울감이 개선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크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정신과 입원 환자 : "병원 안에 있을 때는 답답한데 밖에 나오면 상쾌하고 좋았습니다. 묘하게 뿌듯하고 상큼함을 느꼈습니다."
숲 체험이 어떻게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줄이는지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다만, 나무가 내놓는 천연 물질과 색감이 안정감을 주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인터뷰> 시영화(국립나주병원) : "환자들이 체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는데요, 숲이라는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효과를 확인한 국립병원은 숲체험을 정신과 정규 치료과정에 도입하기로 하고, 또 폭력청소년 대상의 숲체험 치료 프로그램 개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
-
범기영 기자 bum710@kbs.co.kr
범기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