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대신 악기 들고 21개 참전국의 ‘평화’ 연주
입력 2013.07.26 (21:24)
수정 2013.07.27 (15: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6.25 전쟁에 참전했던 21개 참전국 사람들이 정전 60주년을 맞아 한국에 다시 모였습니다.
이번엔 무기가 아니라 악기를 들고 평화를 연주했습니다.
이승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0년전 포화가 가득했던, 바로 그 자리에 오케스트라 선율이 울려 퍼집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21개국의 연주자로 구성된 'UN참전국 교향악단'입니다.
부모 세대에 맺은 한국과의 인연, 그리고 음악을 통해 평화의 메시지를 담아보자는 뜻이 이들을 한국으로 이끌었습니다.
<인터뷰> 앤 크리스틴 판코일리(벨기에) : "이번 연주가 평화를 위한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아주 의미있는 연주라고 생각합니다."
어제의 전장에서 듣는 '비목' 선율에 60년만에 한국을 찾은 참전용사들의 감회는 새롭습니다.
<인터뷰> 제랄드 로우즈(캐나다 참전 용사) : "음악을 들으니까, 전쟁 당시의 한국의 음악, 풍경, 공기같은 것들이 떠오릅니다."
이번 연주를 위해 올 2월부터 21개국에서 29명의 연주자를 모았고 이메일로 악보를 주고받으며 연습했습니다.
유엔군 참전과 정전을 기념하기 위해 연 행사였지만 분단이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도 나눴습니다.
<인터뷰> 배종훈(음악감독) : "여러분들이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평화의 길을 가고 통일의 길을 갈 수 있도록 같이 기원해 달라고 했을 때, 꼭 그러겠다고 다짐했습니다."
60년전 무기로 평화의 싹을 심었던 연합군의 후손들이 오늘은 음악을 통해 더큰 평화의 결실을 염원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준입니다.
6.25 전쟁에 참전했던 21개 참전국 사람들이 정전 60주년을 맞아 한국에 다시 모였습니다.
이번엔 무기가 아니라 악기를 들고 평화를 연주했습니다.
이승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0년전 포화가 가득했던, 바로 그 자리에 오케스트라 선율이 울려 퍼집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21개국의 연주자로 구성된 'UN참전국 교향악단'입니다.
부모 세대에 맺은 한국과의 인연, 그리고 음악을 통해 평화의 메시지를 담아보자는 뜻이 이들을 한국으로 이끌었습니다.
<인터뷰> 앤 크리스틴 판코일리(벨기에) : "이번 연주가 평화를 위한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아주 의미있는 연주라고 생각합니다."
어제의 전장에서 듣는 '비목' 선율에 60년만에 한국을 찾은 참전용사들의 감회는 새롭습니다.
<인터뷰> 제랄드 로우즈(캐나다 참전 용사) : "음악을 들으니까, 전쟁 당시의 한국의 음악, 풍경, 공기같은 것들이 떠오릅니다."
이번 연주를 위해 올 2월부터 21개국에서 29명의 연주자를 모았고 이메일로 악보를 주고받으며 연습했습니다.
유엔군 참전과 정전을 기념하기 위해 연 행사였지만 분단이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도 나눴습니다.
<인터뷰> 배종훈(음악감독) : "여러분들이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평화의 길을 가고 통일의 길을 갈 수 있도록 같이 기원해 달라고 했을 때, 꼭 그러겠다고 다짐했습니다."
60년전 무기로 평화의 싹을 심었던 연합군의 후손들이 오늘은 음악을 통해 더큰 평화의 결실을 염원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기 대신 악기 들고 21개 참전국의 ‘평화’ 연주
-
- 입력 2013-07-26 21:24:48
- 수정2013-07-27 15:51:22

<앵커 멘트>
6.25 전쟁에 참전했던 21개 참전국 사람들이 정전 60주년을 맞아 한국에 다시 모였습니다.
이번엔 무기가 아니라 악기를 들고 평화를 연주했습니다.
이승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0년전 포화가 가득했던, 바로 그 자리에 오케스트라 선율이 울려 퍼집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21개국의 연주자로 구성된 'UN참전국 교향악단'입니다.
부모 세대에 맺은 한국과의 인연, 그리고 음악을 통해 평화의 메시지를 담아보자는 뜻이 이들을 한국으로 이끌었습니다.
<인터뷰> 앤 크리스틴 판코일리(벨기에) : "이번 연주가 평화를 위한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아주 의미있는 연주라고 생각합니다."
어제의 전장에서 듣는 '비목' 선율에 60년만에 한국을 찾은 참전용사들의 감회는 새롭습니다.
<인터뷰> 제랄드 로우즈(캐나다 참전 용사) : "음악을 들으니까, 전쟁 당시의 한국의 음악, 풍경, 공기같은 것들이 떠오릅니다."
이번 연주를 위해 올 2월부터 21개국에서 29명의 연주자를 모았고 이메일로 악보를 주고받으며 연습했습니다.
유엔군 참전과 정전을 기념하기 위해 연 행사였지만 분단이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도 나눴습니다.
<인터뷰> 배종훈(음악감독) : "여러분들이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평화의 길을 가고 통일의 길을 갈 수 있도록 같이 기원해 달라고 했을 때, 꼭 그러겠다고 다짐했습니다."
60년전 무기로 평화의 싹을 심었던 연합군의 후손들이 오늘은 음악을 통해 더큰 평화의 결실을 염원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준입니다.
6.25 전쟁에 참전했던 21개 참전국 사람들이 정전 60주년을 맞아 한국에 다시 모였습니다.
이번엔 무기가 아니라 악기를 들고 평화를 연주했습니다.
이승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60년전 포화가 가득했던, 바로 그 자리에 오케스트라 선율이 울려 퍼집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21개국의 연주자로 구성된 'UN참전국 교향악단'입니다.
부모 세대에 맺은 한국과의 인연, 그리고 음악을 통해 평화의 메시지를 담아보자는 뜻이 이들을 한국으로 이끌었습니다.
<인터뷰> 앤 크리스틴 판코일리(벨기에) : "이번 연주가 평화를 위한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아주 의미있는 연주라고 생각합니다."
어제의 전장에서 듣는 '비목' 선율에 60년만에 한국을 찾은 참전용사들의 감회는 새롭습니다.
<인터뷰> 제랄드 로우즈(캐나다 참전 용사) : "음악을 들으니까, 전쟁 당시의 한국의 음악, 풍경, 공기같은 것들이 떠오릅니다."
이번 연주를 위해 올 2월부터 21개국에서 29명의 연주자를 모았고 이메일로 악보를 주고받으며 연습했습니다.
유엔군 참전과 정전을 기념하기 위해 연 행사였지만 분단이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도 나눴습니다.
<인터뷰> 배종훈(음악감독) : "여러분들이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평화의 길을 가고 통일의 길을 갈 수 있도록 같이 기원해 달라고 했을 때, 꼭 그러겠다고 다짐했습니다."
60년전 무기로 평화의 싹을 심었던 연합군의 후손들이 오늘은 음악을 통해 더큰 평화의 결실을 염원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준입니다.
-
-
이승준 기자 sailing@kbs.co.kr
이승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정전 60년 끝나지 않은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