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에 굶주린 한강 야생동물 먹이 주기
입력 2013.02.06 (06:51)
수정 2013.02.06 (08: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폭설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한강변에 사는 야생동물들이 먹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강을 찾는 철새까지 크게 줄어들자 서울시가 야생동물의 겨울나기를 돕기 위해 먹이 주기에 나섰습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흰 눈이 쌓인 한강 둔치 갈대숲.
너구리와 족제비 등 야생동물 40여 종의 서식지이자 다양한 철새들의 보금자립니다.
하지만, 매서운 추위와 폭설로 겨울 철새는 개체 수가 크게 줄었고 야생동물은 자취를 감췄습니다.
둔치 곳곳에 무나 배추 등 채소를 놓아둡니다.
고라니와 너구리가 좋아하는 먹이들입니다.
청둥오리와 기러기 등 야생조류가 먹을 수 있도록 옥수수와 밀도 뿌려줍니다.
한파 속 먹이 부족이 개체수 감소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자 서울시가 먹이 주기에 나섰습니다.
<인터뷰>차성경(자원봉사자) : "먹이가 이렇게 부족할줄 몰랐는데 와서 보니까 정말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 주고나니 뿌듯해요."
스스로 먹이를 찾는 야생성을 잃지 않도록 생존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만 먹이를 줍니다.
대상 지역은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과 밤섬 등 야생동물과 철새가 많이 서식하는 한강공원 8곳.
<녹취>권혁수(조류 전문가) : "눈밭에 묻혀서 먹이를 못 먹는데 이렇게 눈위에 놔두면 하늘에서 보고 내려와서 먹을수 있게 하는거죠"
서울시는 먹이 주기를 추위가 풀려 야생동물과 새들이 스스로 먹이를 구할수 있는 이른 봄까지 계속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폭설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한강변에 사는 야생동물들이 먹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강을 찾는 철새까지 크게 줄어들자 서울시가 야생동물의 겨울나기를 돕기 위해 먹이 주기에 나섰습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흰 눈이 쌓인 한강 둔치 갈대숲.
너구리와 족제비 등 야생동물 40여 종의 서식지이자 다양한 철새들의 보금자립니다.
하지만, 매서운 추위와 폭설로 겨울 철새는 개체 수가 크게 줄었고 야생동물은 자취를 감췄습니다.
둔치 곳곳에 무나 배추 등 채소를 놓아둡니다.
고라니와 너구리가 좋아하는 먹이들입니다.
청둥오리와 기러기 등 야생조류가 먹을 수 있도록 옥수수와 밀도 뿌려줍니다.
한파 속 먹이 부족이 개체수 감소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자 서울시가 먹이 주기에 나섰습니다.
<인터뷰>차성경(자원봉사자) : "먹이가 이렇게 부족할줄 몰랐는데 와서 보니까 정말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 주고나니 뿌듯해요."
스스로 먹이를 찾는 야생성을 잃지 않도록 생존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만 먹이를 줍니다.
대상 지역은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과 밤섬 등 야생동물과 철새가 많이 서식하는 한강공원 8곳.
<녹취>권혁수(조류 전문가) : "눈밭에 묻혀서 먹이를 못 먹는데 이렇게 눈위에 놔두면 하늘에서 보고 내려와서 먹을수 있게 하는거죠"
서울시는 먹이 주기를 추위가 풀려 야생동물과 새들이 스스로 먹이를 구할수 있는 이른 봄까지 계속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파에 굶주린 한강 야생동물 먹이 주기
-
- 입력 2013-02-06 06:55:11
- 수정2013-02-06 08:54:44

<앵커 멘트>
폭설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한강변에 사는 야생동물들이 먹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강을 찾는 철새까지 크게 줄어들자 서울시가 야생동물의 겨울나기를 돕기 위해 먹이 주기에 나섰습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흰 눈이 쌓인 한강 둔치 갈대숲.
너구리와 족제비 등 야생동물 40여 종의 서식지이자 다양한 철새들의 보금자립니다.
하지만, 매서운 추위와 폭설로 겨울 철새는 개체 수가 크게 줄었고 야생동물은 자취를 감췄습니다.
둔치 곳곳에 무나 배추 등 채소를 놓아둡니다.
고라니와 너구리가 좋아하는 먹이들입니다.
청둥오리와 기러기 등 야생조류가 먹을 수 있도록 옥수수와 밀도 뿌려줍니다.
한파 속 먹이 부족이 개체수 감소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자 서울시가 먹이 주기에 나섰습니다.
<인터뷰>차성경(자원봉사자) : "먹이가 이렇게 부족할줄 몰랐는데 와서 보니까 정말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 주고나니 뿌듯해요."
스스로 먹이를 찾는 야생성을 잃지 않도록 생존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만 먹이를 줍니다.
대상 지역은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과 밤섬 등 야생동물과 철새가 많이 서식하는 한강공원 8곳.
<녹취>권혁수(조류 전문가) : "눈밭에 묻혀서 먹이를 못 먹는데 이렇게 눈위에 놔두면 하늘에서 보고 내려와서 먹을수 있게 하는거죠"
서울시는 먹이 주기를 추위가 풀려 야생동물과 새들이 스스로 먹이를 구할수 있는 이른 봄까지 계속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
김학재 기자 curator77@gmail.com
김학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기상ㆍ재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