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기 적발’ 혜진·예슬 살해범, 구치소 상대 소송
입력 2012.12.26 (21:32)
수정 2012.12.26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5년 전 혜진이.예슬이를 살해한 범인이 감옥에서 흉기가 될 수 있는 물건을 몰래 만들다 적발됐습니다.
구치소가 징벌을 내리자 소송을 내고 법정에서 자신의 억울함까지 호소했습니다.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7년 성탄절에 11살 혜진이와 9살 예슬이를 살해한 정성현.
사형수를 뜻하는 붉은 명찰을 찬 채로 5년 만에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수감돼있는 서울구치소를 상대로 소송을 내고 법정에 출석한 겁니다.
<녹취> "(어떤 권리를 침해 받았다고 생각하시나요?)..."
지난 7월 서울구치소 기동순찰팀은 정 씨의 수용실에서 면봉과 볼펜을 이용한 철침, 1미터 정도의 끈, 구리선 등을 찾아냅니다.
정 씨는 일상 용도로 쓰려고 만들었다고 했지만, 구치소는 면회도, 운동도, 편지 왕래도 안 되는 독방에 가두는 최고 수위의 '금치' 징벌을 내렸습니다.
그러자 정 씨는 자필로 소장을 써가며, 소송을 낸 겁니다.
직접 변론에 나선 정 씨는 "구치소가 계호 지침을 어겼다, 징벌이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됐다고 말하며 법률 지식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법원은 정 씨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정 씨는 검거된 이후, 경찰관, 검사, 또 국가를 상대로 잇따라 소송을 낼 정도로 자신의 권리에는 민감했지만,
<녹취> "(본인의 범죄는 반성하고 계세요?)..."
유족에 대한 사죄는 한 마디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5년 전 혜진이.예슬이를 살해한 범인이 감옥에서 흉기가 될 수 있는 물건을 몰래 만들다 적발됐습니다.
구치소가 징벌을 내리자 소송을 내고 법정에서 자신의 억울함까지 호소했습니다.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7년 성탄절에 11살 혜진이와 9살 예슬이를 살해한 정성현.
사형수를 뜻하는 붉은 명찰을 찬 채로 5년 만에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수감돼있는 서울구치소를 상대로 소송을 내고 법정에 출석한 겁니다.
<녹취> "(어떤 권리를 침해 받았다고 생각하시나요?)..."
지난 7월 서울구치소 기동순찰팀은 정 씨의 수용실에서 면봉과 볼펜을 이용한 철침, 1미터 정도의 끈, 구리선 등을 찾아냅니다.
정 씨는 일상 용도로 쓰려고 만들었다고 했지만, 구치소는 면회도, 운동도, 편지 왕래도 안 되는 독방에 가두는 최고 수위의 '금치' 징벌을 내렸습니다.
그러자 정 씨는 자필로 소장을 써가며, 소송을 낸 겁니다.
직접 변론에 나선 정 씨는 "구치소가 계호 지침을 어겼다, 징벌이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됐다고 말하며 법률 지식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법원은 정 씨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정 씨는 검거된 이후, 경찰관, 검사, 또 국가를 상대로 잇따라 소송을 낼 정도로 자신의 권리에는 민감했지만,
<녹취> "(본인의 범죄는 반성하고 계세요?)..."
유족에 대한 사죄는 한 마디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흉기 적발’ 혜진·예슬 살해범, 구치소 상대 소송
-
- 입력 2012-12-26 21:33:46
- 수정2012-12-26 22:11:08

<앵커 멘트>
5년 전 혜진이.예슬이를 살해한 범인이 감옥에서 흉기가 될 수 있는 물건을 몰래 만들다 적발됐습니다.
구치소가 징벌을 내리자 소송을 내고 법정에서 자신의 억울함까지 호소했습니다.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7년 성탄절에 11살 혜진이와 9살 예슬이를 살해한 정성현.
사형수를 뜻하는 붉은 명찰을 찬 채로 5년 만에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수감돼있는 서울구치소를 상대로 소송을 내고 법정에 출석한 겁니다.
<녹취> "(어떤 권리를 침해 받았다고 생각하시나요?)..."
지난 7월 서울구치소 기동순찰팀은 정 씨의 수용실에서 면봉과 볼펜을 이용한 철침, 1미터 정도의 끈, 구리선 등을 찾아냅니다.
정 씨는 일상 용도로 쓰려고 만들었다고 했지만, 구치소는 면회도, 운동도, 편지 왕래도 안 되는 독방에 가두는 최고 수위의 '금치' 징벌을 내렸습니다.
그러자 정 씨는 자필로 소장을 써가며, 소송을 낸 겁니다.
직접 변론에 나선 정 씨는 "구치소가 계호 지침을 어겼다, 징벌이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됐다고 말하며 법률 지식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법원은 정 씨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정 씨는 검거된 이후, 경찰관, 검사, 또 국가를 상대로 잇따라 소송을 낼 정도로 자신의 권리에는 민감했지만,
<녹취> "(본인의 범죄는 반성하고 계세요?)..."
유족에 대한 사죄는 한 마디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김준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