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다 한 전기 배터리, 이륜차 거는 “안 받아요?”

입력 2021.04.15 (07:00) 수정 2021.04.15 (10: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시내를 누비는 전기 오토바이. 지원금을 최대 50% 이상 받을 수 있다.부산 시내를 누비는 전기 오토바이. 지원금을 최대 50% 이상 받을 수 있다.

부산 시내를 누비는 오토바이, 가만히 보니 배기구에서 나는 요란한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조용한데다 지원금까지 나와 최근 배달기사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은데요.

기름 없이 한 번 충전에 100km를 달릴 수 있는 전기 오토바이입니다.

부산시는 지난 2018년부터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에 발맞춰 오토바이와 같은 전기 이륜차 보급에 앞장섰습니다.

3년동안 64억 원의 예산을 들여 2천6백여 대에 보조금을 지원했는데요. 판매가의 최대 50% 이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도 1000대 가까이 보급할 예정인데요. 부산지역에는 전기 이륜차 대리점도 20곳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한 번 충전에 100km 정도를 달릴 수 있는데 수명은 2년 정도로 매번 바꿔야 한다.전기오토바이 배터리. 한 번 충전에 100km 정도를 달릴 수 있는데 수명은 2년 정도로 매번 바꿔야 한다.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요."

그런데 사용자들 사이에서 최근 불거진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배터리' 관리인데요.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이륜차는 최대 수명이 2년 정도입니다.

2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 비용도 100만 원 이상으로 만만찮습니다.

보조금을 지급 받을 때는 좋았지만, 추후 관리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신규배터리를 구매하는 것이 부담이 되는 운전자들은 배터리 내부에 사용이 불가능한 부분을 교체하는 소위 배터리 '리필'을 위해 사설 업체를 방문하거나 '셀프 교체'에 나서기도 하는데요.

문제는 이후에 발생하는 폐배터리의 행방입니다.

보통 수리점이나 대리점을 통해 배터리를 교체할 경우 폐기물 업체가 폐배터리를 수거하는데요.

이 배터리를 다시 중금속 등으로 분류해 배터리 재활용공장으로 보내야 합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경우 분말형태로 갈아 성분을 나눕니다.

하지만 배터리 '셀프 교체'나 처리 과정에서 무단 폐기 등의 위험도 높습니다.

실제 취재진이 폐기물업체 등에 접촉을 시도했지만, '잘 모른다', '다른 업체에 다시 보내기 때문에 우리는 책임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자료화면: 전기오토바이 제작 과정자료화면: 전기오토바이 제작 과정

이륜차 폐배터리는 괜찮아?…또다른 환경오염 우려

전기 충전 용량이 큰 전기차 배터리의 경우 지난해까지 정부가 배터리를 수거해 위탁 업체에 관리를 맡겼습니다.

폐배터리 발생 현황과 사후 처리에 대한 파악이 가능했는데요.

특히나 올해부터는 앞으로 늘어날 전기차 수요에 대비해 전국 4곳에 폐자원 거점센터를 만들어 운영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전기이륜차는 이같은 관리 대상에서도 빠져 있습니다.

앞으로 2년 마다 전기이륜차 폐배터리가 쏟아질 상황이지만 환경부는 "현재 전기이륜차 배터리의 경우 재활용 공정 등이 일반 업체에서도 가능한 수준으로 본다며 추가 관리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중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단폐기 우려에도 현황파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폐배터리가 무단폐기될 경우 리튬이온배터리 안에 있는 중금속 등이 토양 오염 등을 유발해 환경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 업체마다 제각각인 배터리 규격과 생산방침 등으로, 무분별하게 생산만 가속화하고 관리는 전혀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는데요.

이성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문위원은 "폐배터리 자원 순환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폐기까지 책임지는 '생산자 책임제' 등 폐기물 부담에 대한 책임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또 광역지자체 별로 관리 방안을 만드는 등 지역별 관리 방안을 세워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가 보급에만 급급한 나머지 환경보전이라는 기존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지 않도록 모두의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명 다 한 전기 배터리, 이륜차 거는 “안 받아요?”
    • 입력 2021-04-15 07:00:58
    • 수정2021-04-15 10:36:38
    취재K
부산 시내를 누비는 전기 오토바이. 지원금을 최대 50% 이상 받을 수 있다.
부산 시내를 누비는 오토바이, 가만히 보니 배기구에서 나는 요란한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조용한데다 지원금까지 나와 최근 배달기사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은데요.

기름 없이 한 번 충전에 100km를 달릴 수 있는 전기 오토바이입니다.

부산시는 지난 2018년부터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에 발맞춰 오토바이와 같은 전기 이륜차 보급에 앞장섰습니다.

3년동안 64억 원의 예산을 들여 2천6백여 대에 보조금을 지원했는데요. 판매가의 최대 50% 이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도 1000대 가까이 보급할 예정인데요. 부산지역에는 전기 이륜차 대리점도 20곳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한 번 충전에 100km 정도를 달릴 수 있는데 수명은 2년 정도로 매번 바꿔야 한다.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요."

그런데 사용자들 사이에서 최근 불거진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배터리' 관리인데요.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이륜차는 최대 수명이 2년 정도입니다.

2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 비용도 100만 원 이상으로 만만찮습니다.

보조금을 지급 받을 때는 좋았지만, 추후 관리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신규배터리를 구매하는 것이 부담이 되는 운전자들은 배터리 내부에 사용이 불가능한 부분을 교체하는 소위 배터리 '리필'을 위해 사설 업체를 방문하거나 '셀프 교체'에 나서기도 하는데요.

문제는 이후에 발생하는 폐배터리의 행방입니다.

보통 수리점이나 대리점을 통해 배터리를 교체할 경우 폐기물 업체가 폐배터리를 수거하는데요.

이 배터리를 다시 중금속 등으로 분류해 배터리 재활용공장으로 보내야 합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경우 분말형태로 갈아 성분을 나눕니다.

하지만 배터리 '셀프 교체'나 처리 과정에서 무단 폐기 등의 위험도 높습니다.

실제 취재진이 폐기물업체 등에 접촉을 시도했지만, '잘 모른다', '다른 업체에 다시 보내기 때문에 우리는 책임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자료화면: 전기오토바이 제작 과정
이륜차 폐배터리는 괜찮아?…또다른 환경오염 우려

전기 충전 용량이 큰 전기차 배터리의 경우 지난해까지 정부가 배터리를 수거해 위탁 업체에 관리를 맡겼습니다.

폐배터리 발생 현황과 사후 처리에 대한 파악이 가능했는데요.

특히나 올해부터는 앞으로 늘어날 전기차 수요에 대비해 전국 4곳에 폐자원 거점센터를 만들어 운영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전기이륜차는 이같은 관리 대상에서도 빠져 있습니다.

앞으로 2년 마다 전기이륜차 폐배터리가 쏟아질 상황이지만 환경부는 "현재 전기이륜차 배터리의 경우 재활용 공정 등이 일반 업체에서도 가능한 수준으로 본다며 추가 관리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중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단폐기 우려에도 현황파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폐배터리가 무단폐기될 경우 리튬이온배터리 안에 있는 중금속 등이 토양 오염 등을 유발해 환경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 업체마다 제각각인 배터리 규격과 생산방침 등으로, 무분별하게 생산만 가속화하고 관리는 전혀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는데요.

이성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문위원은 "폐배터리 자원 순환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폐기까지 책임지는 '생산자 책임제' 등 폐기물 부담에 대한 책임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또 광역지자체 별로 관리 방안을 만드는 등 지역별 관리 방안을 세워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가 보급에만 급급한 나머지 환경보전이라는 기존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지 않도록 모두의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